정치경제사회

(영국 런던)=김인수 변호사, 윤석열 검찰총장 비롯한, 반부패 수사 검사들 "국제형사재판소"에 '반인륜범죄혐의'로 고발

지난 9일 영국런던에 살고있는 한국인 '김인수 변호사'가 런던에서 국제 변호사들과 조국 전 법무장관의 그 가족 수사와 반인류범죄혐의 인권침해 등 관련하여 네덜란드 헤이그에 있는 국제형사재판소 (International Criminal Court)에 대한민국 윤석열 검찰총장을 비롯한 서울중앙지검 제3차장검사,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 1,2,3부 부장검사들을 조국가족에 대한 고문(정신적 신체적 모두) 등 반인권반인륜범죄혐의로 국제형사재판소에 고발장을 제출하였다.

이이어 윤석열 검찰총장과 반부패수사 검사(특수부)들이 국제형사재판소에 피소된 것은 우리 한국 역사상 처음 있는 일로써 앞으로 재판 과정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따라서 대한민국은 '체포영장과 징역형을 집행할 수 있는 국제형사재판소에 가입'되어 있으며, 윤석열 검찰총장과 그 수하 검사 그리고 수사관들이 이번에 체포 구속되어 실형을 언도 받을 것인지 귀추가 주목되고있습니다.

 

따라서 영국에 거주하고있는 김인수 변호사가 윤석열 검찰총장을 국제형사법원에 고발한 것은 현정부에 당장은 공수처가 없고 특검할 의사가 없어 한국내에서 윤석열 검찰총장을 처벌 안하니 어쩔수 없이 국제 인권법에 호소 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이준길 미국 변호사'도 미국쪽에서도 국제형사재판소에 최대한 적극 돕겠다고 말했습니다.

 

출처: 여성시대 참조

Reported by 
김재수 기자 
김학민 기자 
김홍이 외신전문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칼럼] 정 토 작가의 강릉의 물부족 자연재해 아닌 "인재"일 수밖에 없는 이유!!!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강릉시 전역에 가뭄으로 힘든 물부족사태를 현정지휘 점검하고있다. 강원도민일보 사진] 김홍이/손병걸 기자= 정토 작가는 31일 어떻게 공교롭게도 20년이상을 동해안(강릉-양양-속초)에서 살다보니 이사부장군과 지역현안을 연구하고, 강릉-양양에서 총선과 국립대 총장,양양군수 선거에서 공약을 만들다 보니 다양한 문제에 접근한 바 있다고 아래와 같이 밝혔다. 그 중 강릉의 남대천과 오봉댐, 상류의 도암댐과 관련 전략적으로 개입한 적 있는데, 남대천은 지금의 일직선화 된 것이 93년 밖에 되지않은 일본인군수 농택성이 자연형 옛 남대천을 매립하고 직선으로 물이 바다로 쉽게 빠지게 개량한 인공하천이라는 것이고, 오봉댐은 주변 산림을 뜯어버려 저장된 물을 흡수하기 힘는 단순냉장고의 형태라는 것이며, 상류의 도암댐은 필자가 예전 남대천살리기시민모임의 의뢰와 한수원의 후원으로 도암댐을 직접 촬영한 결과 흐르지않는 강물을 담수한 그야말로 관련지자체의 이해가 얽힌 정체된 담수라는 것이다. 이는 지역 위정자가 조금만 지역역사를 이해하면 왜? 지금의 남대천이 1932년까지 존재했던 옛남대천(강문-초당-경포-옥천 방향)처럼 천 년이상을 물이 머물며 경포호와 공존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2025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에서 주최하는 '제13회 아트챌린저'가 공모를 시작했다.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작가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재능일까, 인내일까, 아니면 무대를 만나는 운일까. 2025년, 작가들에게 ‘그 무대’가 열린다. ‘2025 아트챌린저 공모전’은 단순한 예술 경연을 넘어, 예술가가 사회와 소통하고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현실적 도약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3년의 축적, 예술의 내일을 향해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회장,여운미)가 주최하는 ‘아트챌린저 공모전시’는 올해로 13회째를 맞는다. 그동안 수많은 작가들이 이 무대를 통해 전시의 두려움을 이겨냈고, 콜렉터와의 만남을 경험했으며, 다음 기회를 향한 발판을 마련해왔다. 예술계에서 이 공모전시는 예술 생태계를 건강하게 확장시키는 의미 있은 전시 무대이다. 참가 장르는 서양화, 동양화는 물론, 평면, 입체, 디자인, 디지털아트 등 최근 주목받는 AI 기반 창작물까지 포괄하며,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예술적 다양성을 수용하고 있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는 개방성도 또 하나의 강점이다. 경력이나 연령에 제한이 없고, 오직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