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민주당 범야권, 9월 20일 김건희 특검법'과 '채상병 특검법' 국회 본회의 통과

 

민주당 김용민 의원 등 범야권 170 여명은 9월 20일 국민의 뜻에 따라 김건희 특검법'과 '채상병 특검법'을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시켰다.
이어 김건희 여사의 디올백 수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국민의힘 공천개입, 임성근 구명로비 등 김건희 여사는 소도둑을 넘어 이제는 대한민국을 도둑질하고 있다고 말하며, 이를 만류하고 저지해야 할 윤석열 대통령은 되려 김건희 여사를 비호하기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하고 있다고 보고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벌써부터 거부권행사 보도가 이어지고 있다고 언급하며, 윤석열 대통령이 또다시 거부권을 행사한다면 국민이 대통령을 거부할 것이며, 대통령 임기도 보장될 수 없다는 것을 명심하기 바란다고 범야권의 김용민 의원 등은 밝혔다.

 

 

또한 김 의원은 한편 윤석열 대통령을 ‘전혀 신뢰 않는다’는 국민이 44.6%라는 보도가 있었고 따라 2016년 당시 박근혜 대통령에게 신뢰도 ‘0점’을 준 응답자가 27%에 그쳤음을 고려하면, 2024년 우리 국민은 윤석열 대통령을 전혀 신뢰하지 않고 심리적 탄핵 상태에 접어들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김 의원은 국민을 이기는 권력은 없다며, 윤석열 정부의 폭주를 막고 진실과 정의를 위해 국민이 주신 권한을 최대한 활용하겠다며 탄핵이 빨라지는 시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밝혔습니다.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김용만 의원과 김용민 의원 포토>

 

 

 

 

 

 

 

 

 

 

Reported by

김홍이/대기자

김주섭/선임기자

손병걸/정치부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헌법재판소, 마은혁 재판관 4월 9일 오전 10시 헌법재판소 강단에서 취임식
<마은혁 헌법재판관 4월 9일 취임식 포토> 김홍이 기자= 헌법재판소 마은혁 재판관 취임식이 4월 9일 오전 10시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과 재판관들을 비롯한 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취임식 현장 소식 전해드립니다! 헌법재판소 마은혁 재판관 취임식이 4월 9일 오전 10시 헌법재판소 대강당에서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과 재판관들을 비롯한 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습니다. 이로서 174일 만에 헌법재판소 9인 재판관 시대가 열렸습니다. ​마은혁 재판관은 이날 취임사를 통해 "헌법재판소의 결정에서 제시된 헌법적 원리와 가치가 입법, 행정, 사법 등 모든 국가 활동의 기준으로 작동하게 되었고, 정치적 다툼이 그 궤도를 따라 진행하게 되었으며, 사회통합의 견인차가 되었다"며 "임기 동안 우리 국민이 피와 땀을 흘려 함께 지켜온 민주공화국 대한민국 헌법의 기본원리와 질서가 흔들리지 않도록 혼신의 힘을 다해 불철주야로 노력하여 저의 작은 힘을 보태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마 재판관은 "임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인간에 대한 따뜻한 시선과 애정, 배려를 바탕으로 하여 다수의 견해를 존중하되 맹종하지 않고, 소수자와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에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속보] 민주당, 5월3일 "판결도 헌법소원 가능... 사실상 4심제" 법제화 추진"
<민주당 추미애 의원들 대법원 대선개입 중단하라 시위 포토> 인터뷰뉴스/MBC=민주당, 법원 판결도 헌법소원 심판의 대상이 될 수 있도록 헌법재판소법 개정을 적극 추진한다고 밝혔다. 민주당 원내대표 비서실장인 정진욱 의원은 현재 기본권을 침해받은 사람이 법원 재판을 제외하고 헌법소원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한 헌법재판소법을, 법원 재판까지 포함해 헌법소원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한 개정안을 마련해, 동료 의원 서명을 받고 나섰습니다. 정 의원은 "재판도 기본권을 침해할 수 있으니 헌재가 한 번 더 판단하도록 해 기본권을 깊이 보장하자는 취지로 사실상 4심제 도입"이라며 "당내 어느 정도 공감대는 있지만, 지도부와 상의하거나 당론은 아니"라고 설명했습니다. 정 의원은 또, "대법원이 이재명 후보 사건 판결을 통해 정치에 개입한만큼, 구조를 바꿔야 한다고 판단해 법 개정안을 추진하게 됐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같은당 김용민 의원이 대통령 당선 시 진행 중인 형사재판을 정지시키는 법안, 또, 대법관 수를 30명으로 늘리는 개정안을 발의하는 등 이재명 후보 파기환송 판결 뒤 사법부에 대한 법안 발의가 잇따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Reported by 김홍이/대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