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이낙연 캠프, 윤석열 검찰의 ‘고발 사주’ 의혹 등 '녹취록 일부' 실체 확실해졌다고 밝혀!

<이낙연 대선 예비 후보>

 

이낙연 후보와 캠프, 윤석열 검찰의 ‘고발 사주’가 의혹을 넘어 점점 구체화되고 있습니다. 어제 전직 검사였던 국민의힘 김웅 의원과 고발사주 의혹의 공익제보자 조성은 씨의 통화 녹취록 일부가 보도됐습니다. 윤석열 씨 측근인 손준성 검사를 출처로 하는 고발장 전송 당시의 통화였습니다. 말바꾸기와 모르쇠로 일관해 온 정치 검찰의 대응도 이제는 효력이 다해가고 있습니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가 고발장을 써서 보내줄 테니 대검에 접수하라"
"내가 대검에 가면 윤석열이 시킨 게 된다"
"검찰 색을 빼야 한다"
김웅 의원과 공익제보자의 대화 속에서 김의원은 검찰의 흔적을 지우기 위해 신경을 썼지만, 그가 한 말들은 청부 고발이 윤석열 검찰의 지시이며 죄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명백하게 인식했음을 드러냅니다. "몰랐다" "기억 안 난다" 는 그동안의 거짓 변명으로 덮을 수 없습니다고 말했다.

고발사주 의혹의 핵심은 고발장의 작성-전달-실행으로 이어지는 과정이 제대로 규명될 수 있는지 여부입니다. 이번 녹취록에는 당사자 간 직접대화가 담겨 있기 때문에, 고발장 전달 과정을 파헤칠 실마리를 제공합니다. 그 의미가 큽니다. 무엇보다도 김의원이 말 한 ‘우리’ 에 윤석열 씨가 포함되는지가 집중적으로 규명되어야 합니다. 머지 않아 정치검찰이 음지에서 어떤 방식으로 권력을 거래하고 정의를 흥정했는지, 만천하에 드러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다행히 공수처 수사는 사건의 핵심을 겨냥하고 있는 듯 합니다. 
이번 통화 녹취본 복구는 손준성 검사가 고발사주 과정에 관여한 사실이 확인돼, 검찰이 사건을 공수처로 이첩한 지 일주일 만의 일입니다. 고발사주의 책임과 진상규명에 더욱 박차를 가해주기바랍니다며

따라서 마지막으로 윤석열 씨에게 요구한다고 말하고 윤석열 씨는 지금이라도 대선 출마를 포기하고 수사에 응해야 옳다고 주장했다. 이어 최근의 손바닥 임금 왕자 일, 계속 되는 태도 논란과 여성 비하 망언 등 셀 수 없는 논란과 엉터리 해명은 국민들께 허탈감을 드리기에 이르렀으며, 그런 터에 용서못할 국기문란, 검찰권력 사유화를 적나라하게 증명하는 고발사주마저 그의 책임으로 귀착됩니다. 윤석열씨는 예비후보를 사퇴하고 수사부터 받으라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국민의힘 역시 사건의 본질을 흐리려는 시도를 중단해야하고 국민들은 고발사주가 어떻게 실행됐는지도 따져묻고 주목하고 있으며, 공수처 수사에 적극 협조하며 공당으로서의 본분을 다하기를 바랍란다고 밝혔습니다.

 

 

 

 

Reported by

김학민/국회출입기자

권오춘/국회출입사진기자

김홍이/뉴스탐사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헌법재판소, 마은혁 재판관 4월 9일 오전 10시 헌법재판소 강단에서 취임식
<마은혁 헌법재판관 4월 9일 취임식 포토> 김홍이 기자= 헌법재판소 마은혁 재판관 취임식이 4월 9일 오전 10시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과 재판관들을 비롯한 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취임식 현장 소식 전해드립니다! 헌법재판소 마은혁 재판관 취임식이 4월 9일 오전 10시 헌법재판소 대강당에서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과 재판관들을 비롯한 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습니다. 이로서 174일 만에 헌법재판소 9인 재판관 시대가 열렸습니다. ​마은혁 재판관은 이날 취임사를 통해 "헌법재판소의 결정에서 제시된 헌법적 원리와 가치가 입법, 행정, 사법 등 모든 국가 활동의 기준으로 작동하게 되었고, 정치적 다툼이 그 궤도를 따라 진행하게 되었으며, 사회통합의 견인차가 되었다"며 "임기 동안 우리 국민이 피와 땀을 흘려 함께 지켜온 민주공화국 대한민국 헌법의 기본원리와 질서가 흔들리지 않도록 혼신의 힘을 다해 불철주야로 노력하여 저의 작은 힘을 보태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마 재판관은 "임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인간에 대한 따뜻한 시선과 애정, 배려를 바탕으로 하여 다수의 견해를 존중하되 맹종하지 않고, 소수자와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에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