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민주당 법사위, "7월 26일 대통령 탄핵 청원 청문회"... '이원석 검찰총장' 증인 채택 주목!

더불어민주당 법사위 정청래 위원장과 김용민 위원 & 조국혁신당 박은정 위원 등 '대통령 탄핵 청원 청문회'에 이원석 검찰총장을 증인으로 채택하기로 해 주목되고있다.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 관련한 각종 검찰 수사를 따져묻겠다는 겁니다. 따라서 검사 탄핵과 관련해 이재명 전 대표와 민주당을 강하게 비판해 왔던 이원석 총장 압박 의미도 있다는 분석이다.

<서울 대검찰청 이원석 검찰총장 가운데 포토>

 

더불어민주당 법사위 정청래 위원장과 김용민ㆍ박은정 등 소속 위원들이 7월 15일 '윤대통령 탄핵 청원 청문회' 증인으로 이원석 검찰총장을 추가하기로 결정했다.
국회 법사위 청문회에서는 김건희 여사 의혹을 다루는 7월 26일에 불러서 주가조작 의혹, 명품백 수수 의혹 등과 검찰의 편파수사 의혹을 집중 따져묻겠다는 겁니다.
이어서 민주당 법사위 관계자는 이원석 총장이 공정한 수사를 위해 김건희 여사를 검찰에 소환하겠다고 해놓고 아직도 못하고 주저하고 있지 않냐며 국회 청문회로 추가 출석이유를 밝혔다.
따라서 검사 4명 탄핵소추에 저항하는 이원석 총장의 국회에 대한 도전 행태도 청문회에서 지적하겠다는 계획이다.
또한 민주당 관계자는 이원석 검찰총장은 민주당 이재명 전 대표 수사 검사에 대한 보복과 겁박용이라고 반발해 왔다.
따라 "이원석 총장은 (거대 야당 이재명 대표 지칭)권력자를 수사하고 기소 재판했다고 해서 그 담당 검사를 탄핵한다면 우리 검사들에게 법치주의와 민주주의는 없는 것이다 라고 말하며 오직 한 사람(이재명 지칭)을 보호하고 지키려고 하는 수사검사의 방탄 탄핵소추"입니다.
이어 검찰총장을 국회 청문회 증인으로 부르는 건 매우 이례적이다.
따라서 내일 7월 16일 민주당 법사위 위원들이 청문회 증인 채택을 강행할 경우 검사들의 수사 압박이라는 검찰 반발의 목소리가 커질 것으로 보여집니다.

 

 

 

 

 

Reported by

김홍이/대기자

김주섭/선임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 당당한 대한민국 외교의 국격 최고 위상 높였다!
[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 27일 서울공항 귀국 모습 포토/대통령실 사진] 김홍이 기자=지금까지 대한민국이 갑오농민전쟁 이후로 외교사에서 가장 패권국가와 제국주의국가 그당시 우리의 목소리를 쥐고있는 제국주의국가 中ㆍ日ㆍ美로 이어왔다. 그리고 미국으로 그패권이 넘어간 이래 대한민국 어떤 정상도 美 대통령을 만나기전에 다른 정상을 만난적이 없다. 이건 어마어마한 모험이며, 대한민국 이재명 대통령만의 대단한 모험이다. 그런데 이런걸 이슈와 하지않고 큰 해석도 하지않았다. 따라서 李대통령이 日총리를 먼저 만나고, 美 대통령을 만나로간다? 이건 상상하기가 어렵다. 그런데 이재명 대통령은 당당하게 도날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정상회담을 무리없이 소화해냈다. 더군다나 이재명 대통령은 도날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나중에 中國 방문때 함께 같이 가자 말까지 나왔다. 그러면 이건뭔가? 이어 갑오농민전쟁 이래로 대한민국이 그 굴욕의 政治에서 처음으로 당당하게 주권국가로서에 위상을 명확히 밝힌 셈이다고본다.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외교전쟁 백악관 정상회담 포토]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트럼프 대통령이 외신 기자들에게 포즈를 취하고있다 포토] 국민의 한사람으로서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2025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에서 주최하는 '제13회 아트챌린저'가 공모를 시작했다.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작가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재능일까, 인내일까, 아니면 무대를 만나는 운일까. 2025년, 작가들에게 ‘그 무대’가 열린다. ‘2025 아트챌린저 공모전’은 단순한 예술 경연을 넘어, 예술가가 사회와 소통하고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현실적 도약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3년의 축적, 예술의 내일을 향해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회장,여운미)가 주최하는 ‘아트챌린저 공모전시’는 올해로 13회째를 맞는다. 그동안 수많은 작가들이 이 무대를 통해 전시의 두려움을 이겨냈고, 콜렉터와의 만남을 경험했으며, 다음 기회를 향한 발판을 마련해왔다. 예술계에서 이 공모전시는 예술 생태계를 건강하게 확장시키는 의미 있은 전시 무대이다. 참가 장르는 서양화, 동양화는 물론, 평면, 입체, 디자인, 디지털아트 등 최근 주목받는 AI 기반 창작물까지 포괄하며,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예술적 다양성을 수용하고 있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는 개방성도 또 하나의 강점이다. 경력이나 연령에 제한이 없고, 오직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