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헌법재판소,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의 변호사 "헌법재판관"에 죄익 빨갱이 막말 파문

내란 혐의로 구속기소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변호사가 헌법재판관들에 대해 '좌익', '빨갱이'라는 막말을 한 걸로 드러났습니다.
또 서부지법 폭도들에 대해서는 반대로 '애국 투사'라고 치켜세우면서 끝까지 함께하자고 선동했습니다.

<헌법재판소 재판정 배경 포토>

 

인터뷰뉴스/MBC 심판이 진행된 지난 1 월 23일 헌재에서

국회 측 반대신문을 거부하던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은 윤석열 대통령 측이 허락하고 나서야 증언을 시작했습니다.

어렵게 신문이 시작됐지만, 이번에는 변호사의 개입이 문제가 됐습니다.

[문형배/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증언을 코치하는 것으로 보이잖아요."

재판부의 경고에 변호사는 강하게 항의했습니다.

[유승수/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변호인]
"증인이 증언거부권을 포기하고 증언한다고 하면, 저희가 조력할 수 있는 기회를…"

[문형배/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증언 중에 동석자가 증인에게 조언을 할 수는 없습니다."

이 변호사는 같은 날 저녁, 헌법재판소 앞에서 열린 탄핵반대 집회의 무대에 올랐습니다.

대뜸 헌법재판관들에 대해 난데없이 좌익이라는 딱지를 붙이며 공격했습니다.

유승수/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변호인]
"헌법재판관 3명이 앉아있습니다. 문형배, 김형두, 이미선. 앞에는 좌익 빨갱이 불공정 재판관들 쭉 앉아있고…"

또 아무 근거도 내놓지 않은 채 "헌법재판관들은 대통령이 탄핵되길 원할 거라"며 미리부터 불복을 선동하는 듯한 주장을 이어갔습니다.

[유승수/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변호인]
"빨갱이 재판관들, 헌법재판관들은 지금도 오늘이라도 당장 탄핵심판 인용 결정을 내리고 싶을 겁니다. 그들은 그냥 얼굴로, 표정으로, 입으로 다 얘기하고 있습니다."

헌법재판관들을 공격하던 유승수 변호사는 서부지법 폭도들에 대해선 '나도 마음만큼은 다르지 않다'며 애국투사로 치켜세웠습니다.

[유승수/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변호인]
"서부지방법원에서 수없이 잡혀간 우리 애국투사들, 여기 얘긴 애국지사들과 끝까지 함께해주시길 바랍니다. 대통령 윤석열!"

"대통령 윤석열! 대통령 윤석열!"

서부지법 피의자 변호도 맡은 유변호사는 집회 발언 의도를 확인하기 위한 MBC 취재진 전화에 "답하지 않겠다"는 취지만 밝혔습니다.

 

 

 

 

 

 

Reported by

김홍이/대표기자

MBC/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강선우 장관 후보, 감성적이고 편리적으로 보좌관을 대했고, 세밀한 부분과 인권의 아쉬움? 강선우 후보의 인품과 실력에 대해 의심할 필요없다!
[강선우 의원은 비가오나 눈이오나 민주당에 최선을 다하고있다] 김홍이 기자=강선우 여성가족부 정관 후보자에 대해 한시민이 이 글을 올리기까지 생각이 많았다고한다. 나는 강선우 의원과 페친도 아니도 지인도 아니다. 이재명대표가 소위 수박이라고 칭하는 의원들로 인해서 힘들던 21대 국회에서 이 대표와 함께한 대변인이 강선우 의원이었기에 이재명 대표를 잘 대변했으면 했다. 대표가 단식할 때 대변인이기에 대표 옆에 있으며 보인 강 의원의 우울한 표정과 자세가 마치 대표의 단식을 보는 나의 마음 같았다. 2년 전 가을 강서 구청장 재보선이 중요한 선거였기에 나름 강서구에도 가고 강서구에 사는 분들에게 연락도 하였다. 그래서 선거를 응원하는 분들을 보았다. 생각보다 다소 인간관계를 쌓으려는 분들이 있음을 보았기에 걱정이 들었다. 그런데 간절하게 돕는 강선우의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작년 22대 강 의원이 재선이 되고 작년 여름 남대문에서 윤석열탄핵 집회가 있을 때 강선우 의원을 옆에서 본 적이 있었다. 강한 볕인데 모자도 안 쓰고 반듯한 자세로 끝가지 참여하는 모습을 보며 고맙다는 마음도 들었고 직관적으로 진정성이 느껴졌다. 그래서 페북에 민주진영 응원 포스팅에 강 의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의원, 法(왜곡)으로 장난치는 判ㆍ檢事는 반드시 법의 심판대 세우겠다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의원 댕대표 후보] 김홍이 기자=박찬대 의원(민주당 당대표 후보)는 지귀연 판사를 내란 법정에서 끌어내리겠다며, 법으로 장난치는 자들을 반드시 법의 심판대에 세우겠다고 밝혔습니다. -박찬대 원내대표 발언입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사랑하는 당원 동지 여러분, 내란 혐의로 기소된 자들을 심판해야 할 법정이, 오히려 내란세력의 은신처로 전락하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 지귀연 판사가 있습니다. 지귀연 판사는 윤석열에게 ‘석방’이라는 특혜를 부여한 당사자입니다. 그 후로도, 지하통로 이용 허용, 법정 촬영 금지, 변호사 뒤 편한 자리 배치 등 상식을 벗어난 배려가 이어졌습니다. 윤석열에게 베푼 특혜들은 한 배를 탄 공동 운명체가 아니고서는 정상적인 판사로서 하기 힘든 것들이었습니다. 최근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윤석열이 3주 연속 재판에 불출석해 특검이 구인영장을 요청했음에도, 그저 검토하겠다, 조사하겠다고만 합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단식 13일째에도 출석했고, 칼에 목을 찔리는 테러를 당하고도 17일 뒤 출석했습니다. 그런데 왜 내란범들에겐 다른 잣대가 적용되는 겁니까? 내란 재판장이 내란 동조자처럼 행동하는 이 현실, 더 이상 묵과할 수 없습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세미갤러리, ‘2025 끌림전’ 개최, 예술로 이어진 14년의 이야기…
세미갤러리, ‘2025 끌림전’ 개최, 예술로 이어진 14년의 이야기… 세미갤러리가 주최하는 연례 전시회 ‘끌림전’이 2025년에도 이어진다. 2011년 중국 하얼빈 초청전시로 시작된 끌림전은 올해로 11회째를 맞는 장수전시행사로 동시대 미술의 다양성을 담아내며 지속적인 예술 교류의 장을 열어왔다. 끌림전 회원들사진 하얼빈에서 서울까지, ‘끌림’의 여정 ‘끌림전’은 그 이름처럼 예술이 사람을 끌어당기는 힘, 작가와 관람객 사이의 감정의 연결, 그리고 서로 다른 문화가 만나 만들어내는 교감을 주제로 삼는다. 첫 회인 2011년, 하얼빈에서의 전시를 기점으로 미술적 교류를 지향하며 시작된 본 전시는, 이후 매해 국내 다양한 작가들의 참여 속에 한국 현대미술의 정체성과 감수성을 녹여내 왔다. 참여작가들의 작품 7월17일(목) 세미갤러리에서 열리는 ‘2025 제11회 끌림전’은 전통적인 미술 매체뿐 아니라 디지털 아트, 설치, 퍼포먼스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이 함께한다. 참여 작가군은 신진작가부터 중견작가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스펙트럼을 형성해, 세대 간 예술적 해석의 차이와 그 속에서 피어나는 공감대를 조망한다. 홍대의작가의 퍼포먼스 세미갤러리는 단지 전시 공간을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