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인터뷰뉴스티비=MBC] 선거방송심의위원회, 4월 18일 'MBC 보도'에 대해 묻지마 무더기 중징계... 178건 민원이 '국민의힘'과 '특정 보수언론단체'가 낸 것으로 밝혀져 '심히 논란'이 되고있다!

최진봉 교수/성공회대학교
"한마디로 하면 고양이한테 생선을 맡긴 꼴이 되는 거죠. 과연 그분들이 공정하고 중립적으로 심의를 할 거라고 어떻게 상할 수 있겠습니까."

따라서 "국회는 불공정의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대해 국정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고 언급했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포토>


MBC 4월 18일 보도, 어제 선거방송심의위원회가 MBC 보도에 대해 무더기 중징계를 의결했다는 소식 전해드렸는데요.
정당이나 단체가 냈던 178건에 달하는 민원이 모두 '국민의힘'과 하나의 '특정 보수언론단체'가 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더구나 중징계 의견을 낸 심의 위원들 중 두 명이 바로 민원을 제기한 보수언론 단체의 전직 대표와 현직 이사장입니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민원사주' 의혹에 이어, 선거방송심의위원회의 셀프민원 논란이 일 것으로 보입니다.

윤석열 정부 출범 직후 설립된 '공정언론국민연대'의 올해 신년행사.

대통령실 인사도 참석한 신년회는 기존 언론에 대한 성토장이었습니다.

[최철호/전 공정언론국민연대 공동대표]
"선거 결과를 바꾸겠다는 거예요. 뭘로? 가짜 뉴스로 허황된 뉴스로 편향적인 언론으로 바꾸겠다는 거 아닙니까. 그런데 그런 행태를 하는 특정 집단들 좌파 집단들.."

[권재홍/공정언론국민연대 이사장]
"얼마나 대한민국 언론 생태계가 헝클어져 있고, 파괴되어 있고, 훼손되어 있는지."

 

총선을 앞두고 이 단체 관련자들의 선거방송심의위원회 합류가 시작됐습니다.

공언련 전 대표였던 최철호 위원은 국민의힘 추천으로, 권재홍 위원은 자신이 이사장으로 있는 '공언련'의 셀프추천으로 선방위 위원이 됐습니다.

이들의 활동은 MBC 중징계 과정에서 두드러졌습니다.

지난해 12월부터 지난달까지 지상파 보도에 대한 선방위 심의 민원은 총 304건, 개인 민원을 제외한 178건 가운데 정당 146건은 모두 '국민의힘' 단체 32건은 모두 공정언론국민연대의 민원이었습니다.

이들 민원의 3분의 2는 MBC에 집중됐습니다.

국민의힘과 특정 보수단체가 민원을 쏟아내면 이들이 추천했거나, 전·현직 임원 출신 위원들이 중징계를 결정하는 꼴입니다.

자신의 친인척을 동원했다는 '민원사주의혹'이 불거졌던 류희림 방송통신심의위원장의 '이해충돌방지법 위반' 논란과 비슷합니다.

[최진봉 교수/성공회대학교]
"한마디로 하면 고양이한테 생선을 맡긴 꼴이 되는 거죠. 과연 그분들이 공정하고 중립적으로 심의를 할 거라고 어떻게 상상할 수 있겠습니까."

정당·단체 민원을 제외한 개인민원 역시 특정 정당 소속인지, 특정 단체에 소속된 개인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민원인 정보는 비공개이며 확인해 준 적도, 확인해 줄 수도 없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또 공언련의 현직 이사장인 권재홍 선방위원은 언론 인터뷰를 통해 "이사장은 방송 모니터에 관여하지 않으며, 공언련의 민원 제기와 자신은 관련이 없다"고 반박했습니다.

 

따라서 "국회는 불공정의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대해 국정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Reported by

김홍이/대표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칼럼] 정 토 작가의 강릉의 물부족 자연재해 아닌 "인재"일 수밖에 없는 이유!!!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강릉시 전역에 가뭄으로 힘든 물부족사태를 현정지휘 점검하고있다. 강원도민일보 사진] 김홍이/손병걸 기자= 정토 작가는 31일 어떻게 공교롭게도 20년이상을 동해안(강릉-양양-속초)에서 살다보니 이사부장군과 지역현안을 연구하고, 강릉-양양에서 총선과 국립대 총장,양양군수 선거에서 공약을 만들다 보니 다양한 문제에 접근한 바 있다고 아래와 같이 밝혔다. 그 중 강릉의 남대천과 오봉댐, 상류의 도암댐과 관련 전략적으로 개입한 적 있는데, 남대천은 지금의 일직선화 된 것이 93년 밖에 되지않은 일본인군수 농택성이 자연형 옛 남대천을 매립하고 직선으로 물이 바다로 쉽게 빠지게 개량한 인공하천이라는 것이고, 오봉댐은 주변 산림을 뜯어버려 저장된 물을 흡수하기 힘는 단순냉장고의 형태라는 것이며, 상류의 도암댐은 필자가 예전 남대천살리기시민모임의 의뢰와 한수원의 후원으로 도암댐을 직접 촬영한 결과 흐르지않는 강물을 담수한 그야말로 관련지자체의 이해가 얽힌 정체된 담수라는 것이다. 이는 지역 위정자가 조금만 지역역사를 이해하면 왜? 지금의 남대천이 1932년까지 존재했던 옛남대천(강문-초당-경포-옥천 방향)처럼 천 년이상을 물이 머물며 경포호와 공존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2025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에서 주최하는 '제13회 아트챌린저'가 공모를 시작했다.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작가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재능일까, 인내일까, 아니면 무대를 만나는 운일까. 2025년, 작가들에게 ‘그 무대’가 열린다. ‘2025 아트챌린저 공모전’은 단순한 예술 경연을 넘어, 예술가가 사회와 소통하고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현실적 도약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3년의 축적, 예술의 내일을 향해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회장,여운미)가 주최하는 ‘아트챌린저 공모전시’는 올해로 13회째를 맞는다. 그동안 수많은 작가들이 이 무대를 통해 전시의 두려움을 이겨냈고, 콜렉터와의 만남을 경험했으며, 다음 기회를 향한 발판을 마련해왔다. 예술계에서 이 공모전시는 예술 생태계를 건강하게 확장시키는 의미 있은 전시 무대이다. 참가 장르는 서양화, 동양화는 물론, 평면, 입체, 디자인, 디지털아트 등 최근 주목받는 AI 기반 창작물까지 포괄하며,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예술적 다양성을 수용하고 있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는 개방성도 또 하나의 강점이다. 경력이나 연령에 제한이 없고, 오직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