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이태원ㆍ오성지하차도의 유족에 향해 정중하게 고개숙여] 김홍이/이성철 기자= 李 대통령은 7월 16일 오후 청와대 영빈관에서 '기억과 위로, 치유의 대화'라는 제목의 행사를 열고 참사 유족 200여명을 초청해 대화와 위로로 따뜻한 만남을 가졌다. 이재명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국가의 제1책임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이라며 "나라의 주인이 국민이다.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오는데, 국민이 위협을 받을 때 국가가 보호하지 못한다면, 그 자리에 있을 있을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또한 李 대통령은 "생명보다 돈을 더 중시하고, 안전보다 비용을 먼저 생각하는 잘못된 풍토 탓에 죽지 않아도 될 사람이 죽는 일이 발생했다"고 말했다. 따라서 李대통령은 "국정 최고 책임자로서 정부가 책임을 다하지 못한 점, 그로 인해 많은 사람이 유명을 달리한 점에 대해 공식적으로 정부를 대표해 진심으로 사죄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한 뒤 자리에서 일어나 유족들을 향해 고개를 숙였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이태원ㆍ오성지하차도 참사 유족들과 대화를 나누고있다 포토] Reported by 이상철/선임기자/논설위원 황일봉/선임기자/논설위원 김홍이/대표기자
김홍이/이상철 기자=민주당 김용민 의원과의 7월 15일 '박찬대 대표 후보'의 정당·정치개혁 기자회견을 했습니다. 민주당 의원들은 정치개혁 5대 과제로 △국회의원 국민소환제 도입 △지구당 부활 △정치후원금 세액공제 확대 △국회 윤리특위 상설화 △'명태균식' 여론조사 원천 차단 또한 정당개혁 5대 과제로 △선출직 평가에 당원 평가 반영 △전략공천 당원 추인제 도입 △당내 선거 공영제 도입 △의원총회 공개 확대 △디지털 정당 플랫폼 구축를 약속하며, 10대 공약을 입법을 통해 곧바로 실행 단계로 나아가겠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국회법, 정당법, 정치자금법, 공직선거법 등의 개정과 국회의원 국민소환제는 예전부터 꾸준히 주장해온 정당·정치개혁 방안입니다. 따라서 국민의 요구에 한층 더 빠르게 응답하고, 당원의 요구를 하늘처럼 받드는 민주당이 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Reported by 이상철/선임기자 김홍이/대표기자 김학민/문화예술전문선임기자
[서울중앙지법 본관 포토] 김홍이/이상철 기자= 사법정의바로세우기시민행동(사세행) 7월 15일 김건희 특검 영장기각 서울중앙지법 영장전담 판사, 직권남용 및 직무유기 혐의 김건희 특검 고발 기자회견을 연다. ○ 일시 : 2025.7.15.(화) 오후 1:30 ○ 정의 : 내란 특검 (서울고검 앞) ○ 피고발인 : 서울중앙지법 영징전담판사 ○ 피고발혐의 : 1. 직권남용 2. 직무유기 ○ 고발인 : 사법정의바로세우기시민행동 (사세행/시민단체) * 국가적으로 중대한 김건희 권력형 비리사건들인 김예성,건진법사 관련 사건의 원활한 수사를 위해 필수적인 입수수색 영징을 기각하여 특검 수사를 조직적으로 방해하는 서울중앙지법 영징전담핀사들에 대해 김건희 특검법 제2조에 따라 직권남용 및 직무유기 혐의로 특검에 고발합니다 리고 기자회견 15일 오후 2시 취재요청! 적극적인 보도를 바랍니다! Reported by 김홍이/대표기자 이상철/선임기자
김홍이 이상철 기자=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하루를 커피 한 잔으로 시작한다. 전문가들은 이처럼 무심코 마신 아침 커피가 오히려 우리 몸의 에너지 리듬을 무너뜨릴 수 있다고 경고한다. 기상 직후 30~60분 이내와 잠자기 전 5~6시간 이내는 커피를 피해야 할 최악의 시간대로 꼽힌다고 의견을 전달했다. “If many people have a coffee that you have to wake up, you are rather tired of you?” Many people start with a cup of coffee. Experts warn that the morning coffee, which was inadvertently drank, could destroy the energy rhythm of our body. Immediately after the weather, he conveyed that it was considered the worst time to avoid coffee within 30 to 60 minutes and 5 to 6 hours before going to bed. Reported by 김홍이/대표기자 Alexander Ut
[김영록 전남지사 여수ㆍ광양항 북극항로 세미나에 대해 설명을 하고있다] 김홍이 이상철 기자= 김영록 전남지사는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이자 새로운 해상 운송로로 떠오르고 있는 북극항로 개척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정책세미나를 얼었다. 이 자리에 물류시스템 박상국 대표와 (사)한국북극항로협회 최수범 사무총장을 비롯한 전문가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토론이 펼쳐졌습니다. 참석자 모두 여수 광양항이 북극항로 중심항이 될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이구동성 입을 모았습니다. 첫째, 여수광양항의 운송구조가 북극항로와 완벽히 일치합니다. 븍극항로는 원유와 LNG 같은 비컨테이너 화물이 99%인데 여수광양항은 이런 비컨테이너 화물처리에 특화된 항만입니다. 둘째, 친환경 선박이라는 세계적 흐름에 완벽히 부합합니다. 북극항로 운항 선박에 대한 탄소 배출가스 규제가 강화되는 추세입니다. 여수광양항은 친환경 연료인 LNG를 해상에서 직접 공급하는 시설을 이미 구축하고 있습니다. 셋째, 북극항로 운항에 대한 실제 검증도 완료한 항만입니다. 북극항로를 이용시 열흘정도 기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2013년 여수광양항을 출발해 북극항로를 거쳐 러시아 북서부 지역 항만
[왼쪽부터 국민의힘 나경원 의원과 극우단체의 모스 탄 포토, 사진 연합뉴스] 김홍이 이상철 기자= 김민웅 촛불행동 상임대표와 시민사회단체는 7월 13일 한국과 미국을 오가며 허위 선동과 정치 개입을 일삼아온 모스 탄(Morse Tan)의 방한을 규탄하며, 우리는 촛불행동은 다음과 같은 입장을 밝힌다. 이어 모스 탄 리버티 대학 법과 정부 센터 상임 사무총장은 전 미 국무부 산하 국제형사사법 대사라는 전력을 앞세워, 한국의 6.3 대선이 부정선거였다는 근거 없는 음모론, 그리고 이재명 대통령을 겨냥한 허위의 악의적 주장 등을 유포해왔다. 그의 발언은 단순한 의견 표현이 아니라, 한국 사회의 민주질서와 대통령의 명예를 훼손하고 한미 동맹을 극우 정치 목적에 악용하려는 내정간섭적 공작 행위에 가깝다. 따라서 김민웅 촛불행동은 모스 탄의 발언은 단순한 실언이나 개인의 일탈이 아니다. 그는 애니 챈을 중심으로 한 극우 단체(CPAC Korea, KAFSP 등)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국민의 힘 국회의원들, 서울시 산하 행사, 서울대학교 등을 통해 제도적 통로를 확보하고 있다고 직격했다. 따라서 이에 우리는 다음과 같이 강력히 요구한다. 1. 서울시는 모스
[더불어민주당 민형배 의원 포토] 김홍이 기자= 민형배 의원, 7월 14일 그렇습니다. 헌법재판의 권위가 곧 민주주의의 기반입니다. 문형배 소장의 퇴임사처럼 주권자 시민과 정치가 헌재를 존중할 때 비로소 시대적 사명을 흔들림 없이 감당할 수 있습니다. 이어서 민 의원은 헌법재판소는 시민의 기본권을 최종적으로 지켜내는 헌법기관입니다. 그 수장을 임명하는 과정은 대한민국 헌법의 가치와 시대정신을 확인하는 일이자 헌재가 존중받는 조건을 만드는 일이며, 오늘, 김상환 헌법재판소장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특위 첫 회의를 열었습니다. 민주당 간사를 맡았습니다. 후보자의 역량과 철학을 면밀히 검증하고 위원님들의 원활한 논의와 절차의 공정성 확보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형배 의원 왼쪽에서 세번째 김상환 헌법재판소장 청문회 간사로 참여 포토] Reported by 이상철/선임기자 김홍이/대표기자 권오춘/국회출입사진기자
이재명 대통령 이번엔 부산입니다. 김홍이 이상철 기자=이재명 대통령은 7월 14일 대통령실에서 대통령과 함께 토론할 200명의 부산시민을 만남 위해 모시러갑니다. 따라서 이재명 대통령은 북극항로 시대 준비를 위한 해수부 이전부터, 지역 발전을 위한 다양한 정책 제안까지, 저마다 자유롭게 토론하며 합리적 대안을 만들어 갈려고합니다. 많은 부산시민의 차여가 기대 된다고 말하고, 여러분께서 보여주실 참여의 열기만큼 ‘국민이 주인인 나라’가 성큼 앞당겨질 것으로 진심으로 믿는다고 밝혔습니다. ☑️ 날짜: 2025년 7월 18일(금) *시간, 장소는 경호상의 이유로 추후 안내 예정 ☑️ 참여 신청 : 2025년 7월 14일(월)~7월 16일(수) 14시까지 구글폼 접수(https://forms.gle/zvJQq1qM8hZh53kK7) [ Reported by 이상철/선임기자 황일봉/논설위원겸 선임기자 김홍이/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