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전북고창해상풍력=인터뷰뉴스TV> President Moon Jae-in visits Jeollabuk-do for the first time in Green New Deal “The world's top 5 offshore wind power in 2030 / 문재인 대통령, 그린 뉴딜 첫 행보 전라북도 방문 2030년 세계 5대 해상풍력 강국 선언!

 

<President Moon Jae-in of Republic of Korean>

 

President Moon Jae-i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trengthening offshore wind power competitiveness and the importance of green energy at the'Korea New Deal, Green Energy Field-Wind Blows' event held at the Demonstration Complex of Offshore Wind Power in Buan-gun, Jeonbuk on the 17th.

President Moon Jae-in visited the offshore wind farm demonstration complex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Jeollabuk-do on the 17th as the first field trip to the Green New Deal.  It is said that it is taking advantage of our geographical advantage, which is the three-sided sea, and making a leap to “the world's top five offshore wind powers” ​​in 2030.”

 


President Moon visited the wind power test center of the Wind Energy Core Technology Research Center located in Buan, Jeollabuk-do this afternoon, and the offshore wind power demonstration complex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Jeollabuk-do. “It is important to secure competitiveness first, when offshore wind power is in its infancy.  It is true that we have a long way to go before we can take the lead in the global market.  But it is not impossible,” he said.
 In the meantime, “We have established three major directions to expand the 124 megawatts (MW) offshore wind power to three hundred times 12Gigawatts (GW) in 2030.”  The government will actively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development complex.”
In addition, “Second, the government will be the prime source of market creation.  “We will make initial demands around large-scale projects and continue investing in technology development so that domestic companies can have price competitiveness and technology competitiveness.” Third, we will save the local economy with maritime wind power.  "It will be a new source of income for the fishermen and local residents who have become deeply troubled by the decrease in fishing production, and will be a new vitality for the local economy."

President Moon said, “The “Green New Deal” is becoming the third specialty of Chonbuk.  The world's largest floating solar power plant has begun to be built in Saemangeum, and the'Gunsan-type jobs' electric vehicle cluster business is being promoted more strongly with'Green New Deal'. “'Green New Deal' is a carbon-based economy to a low-carbon economy. "The idea of ​​leaping forward."

 


 For the green new deal, we start by changing “coal energy” to “green energy”.  “Green Energy” is a growth strategy that solves the climate crisis, creates jobs, reduces inequality, and enhances our society's inclusiveness. “Preemptively responds to strengthening international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existing strengths and new green industries.  "Is a way to win-win growth that can develop simultaneously."
 In addition, President Moon said, “The world is paying attention to'offshore wind power'.  As of last year, the world offshore wind power is only 4.5% of the total wind power generation, but new facilities are installed with more than twice the onshore wind power. “With each country expanding the offshore wind power, it will be three times by 2030.  It is forecasted that the offshore wind power will increase to 177 gigawatts (GW).
 “As compared to land wind power, installation sites are free, large-scale complex development is possible, and facility utilization is high.  It can also create high-quality jobs up to ten times higher than other power generation,” he said. “The offshore wind tower applies construction technology to offshore plants, shipbuilding and equipment technology, and infrastructure construction.”
 “Expanding offshore wind power will create new demand for our shipbuilding industry, steel industry, and construction industry with world-class technological power.” Carbon fiber is used for wind power blades to secure competitiveness in the future new material carbon fiber industry.  It will help.”
 In addition, a complex of aquaculture resources was created in the infrastructure of the Jeonbuk offshore wind farm facility.  The system was established to return more profits to the residents through the coexistence of fisheries and offshore wind power.  People's expectations for offshore wind farms are high.  "We look forward to the wind of win-win leap that started in the offshore wind farm in Jeollabuk-do, spreading across the sea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The event of President Moon's visit to the Northwest Northwest offshore wind farm demonstration site was followed by a report on the development of offshore wind power under the theme of'wind blows', progress report on offshore wind power in the southwestern area of ​​Jeonbuk, and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Here, the Minister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Sung Yun-mo announced plans to promote maritime wind power, Moon Sung-hyuk, Minister of Oceans and Fisheries, co-existence plan for maritime wind power and fisheries, and Song Ha-jin, a provincial governor of Jeollabuk-do Province, to announce the progress of maritime wind power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Jeollabuk-do and future plans.
 At this event, a large-scale marine wind memorandum of understanding was signed with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Northwestern Jeollabuk-do, where Buan and Gochang-gun, Presidents of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President of the Korea Maritime Wind Power Company, and residents of Buan-gun and Gochang-gun participated.

 

 

 

-위와 같이 해설입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오늘 전북 부안군 해상풍력 실증단지에서 열린 '한국판 뉴딜, 그린 에너지 현장 - 바람이 분다' 행사에서 해상풍력 경쟁력 강화와 그린에너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17일 그린 뉴딜 첫 현장 행보로 전북 서남권 해상풍력 실증단지를 방문해 해상풍력 정부의 목표는 명확하다. 3면이 바다인 우리의 지리적 이점을 활용해 2030년 ‘세계 5대 해상풍력 강국’으로 도약하는 것 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전북 부안에 위치한 재료연구소 풍력핵심기술연구센터의 풍력시험동과 전북 서남권 해상풍력 실증단지를 방문해 “해상풍력이 시작단계인 지금, 경쟁력을 먼저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세계시장의 주도권을 잡기까지 우리가 가야 할 길이 먼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불가능한 일도 아니다”며 이같이 말했다.

 

<대한민국 문재인 대통령>


그러면서 “현재 세 개 단지 124메가와트(MW) 규모의 해상풍력을 2030년에는 백 배 수준인 12기가와트(GW)까지 확대하는 3대 추진방향을 세웠다”며 “첫째, 지자체가 주도하여 체계적인 대규모 발전단지를 개발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약속했다.
아울러 “둘째, 정부가 시장창출의 마중물이 되겠다. 국내기업들이 가격경쟁력, 기술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대규모 프로젝트 중심으로 초기 수요를 만들고, 기술개발 투자를 계속해 나가겠다”며 “셋째, 해상풍력으로 지역경제를 살리겠다. 어업생산량 감소로 시름이 깊어진 어민과 지역주민께 새로운 소득원이 되고 지역경제에 새로운 활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그린 뉴딜’이 전북을 대표하는 세 번째 특산물이 되고 있다. 세계 최대 규모의 수상태양광 단지가 새만금에 건설되기 시작했고, ‘군산형 일자리’ 전기차 클러스터 사업도 ‘그린 뉴딜’로 더욱 힘차게 추진되고 있다”며 “‘그린 뉴딜’은 탄소의존 경제에서 저탄소 경제로 도약하는 구상”이라고 밝혔다.
그린 뉴딜에 대해 ‘석탄 에너지’를 ‘그린 에너지’로 바꾸는 것부터 시작한다. ‘그린 에너지’는 기후위기를 해결하는 동시에 일자리를 창출하고, 불평등을 줄이며 우리 사회의 포용성을 높이는 성장 전략'이라며 “강화되는 국제 환경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기존의 강점 산업과 새로운 녹색 산업을 동시에 발전시킬 수 있는 상생 도약의 길”이라고 설명했다.

 


또 문 대통령은 “세계는 ‘해상풍력’에 주목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세계 해상풍력은 전체 풍력발전 중 4.5%에 불과하지만, 신규 설비는 해상풍력이 육상풍력의 두 배 이상으로 설치되고 있다”며 “각국이 해상풍력을 확대하면서, 2030년이면 지금의 세 배에 달하는 177기가와트(GW)까지 해상풍력이 증가할 전망”이라고 해상풍력 개발을 향한 세계의 흐름을 짚었다.
그러면서 “육상풍력에 비해 설치장소가 자유롭고, 대규모단지 개발이 가능하며, 설비이용률도 높다. 다른 발전에 비해 최대 열 배에 이르는 양질의 일자리도 만들어 낼 수 있다”며 “해상풍력 타워는 해양 플랜트와 조선·기자재 기술, 하부구조물 시공에는 건설기술이 적용된다”고 얘기했다.

 

 


이어 “해상풍력의 확대는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가진 우리 조선산업과 철강산업, 건설산업에도 새로운 수요 창출이 될 것”이라며 “풍력 블레이드에는 탄소섬유가 사용되어 미래 신소재 탄소섬유산업의 경쟁력 확보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산업적 연관효과도 강조했다.
또 “전북 해상풍력단지 시설의 하부구조물에 양식자원 복합단지를 조성했다. 수산업과 해상풍력의 공존을 통해 주민들께 더 많은 수익이 돌아가도록 체계를 정비했다”며 “그 자체로 상생단지다. 해상풍력단지에 대한 국민들의 기대가 크다. 전북 해상풍력단지에서 시작된 상생 도약의 바람이 한반도를 둘러싼 바다 곳곳으로 퍼져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의 전북 서남권 해상풍력 실증단지 현장 방문 행사는 ‘바람이 분다’ 주제로 해상풍력 발전방안 보고, 전북 서남권 해상풍력 경과보고, 양해각서 체결 순으로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는 성윤모 산업자원부 장관이 해상풍력 추진방안,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은 해상풍력과 수산업 상생 공존방안, 송하진 전북도지사이 전북 서남권 해상풍력 추진경과 및 향후 계획에 대한 발표를 했다. 
이 행사에서 부안 및 고창군수, 한국전력사장, 한국해상풍력 사장, 부안군 및 고창군 주민대표가 참여한 전북 서남권 주민참여형 대규모 해상풍력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Reported by

김홍이 기자 

권오춘 사진기자 

김학민 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칼럼] 정 토 작가의 강릉의 물부족 자연재해 아닌 "인재"일 수밖에 없는 이유!!!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강릉시 전역에 가뭄으로 힘든 물부족사태를 현정지휘 점검하고있다. 강원도민일보 사진] 김홍이/손병걸 기자= 정토 작가는 31일 어떻게 공교롭게도 20년이상을 동해안(강릉-양양-속초)에서 살다보니 이사부장군과 지역현안을 연구하고, 강릉-양양에서 총선과 국립대 총장,양양군수 선거에서 공약을 만들다 보니 다양한 문제에 접근한 바 있다고 아래와 같이 밝혔다. 그 중 강릉의 남대천과 오봉댐, 상류의 도암댐과 관련 전략적으로 개입한 적 있는데, 남대천은 지금의 일직선화 된 것이 93년 밖에 되지않은 일본인군수 농택성이 자연형 옛 남대천을 매립하고 직선으로 물이 바다로 쉽게 빠지게 개량한 인공하천이라는 것이고, 오봉댐은 주변 산림을 뜯어버려 저장된 물을 흡수하기 힘는 단순냉장고의 형태라는 것이며, 상류의 도암댐은 필자가 예전 남대천살리기시민모임의 의뢰와 한수원의 후원으로 도암댐을 직접 촬영한 결과 흐르지않는 강물을 담수한 그야말로 관련지자체의 이해가 얽힌 정체된 담수라는 것이다. 이는 지역 위정자가 조금만 지역역사를 이해하면 왜? 지금의 남대천이 1932년까지 존재했던 옛남대천(강문-초당-경포-옥천 방향)처럼 천 년이상을 물이 머물며 경포호와 공존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2025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에서 주최하는 '제13회 아트챌린저'가 공모를 시작했다.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작가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재능일까, 인내일까, 아니면 무대를 만나는 운일까. 2025년, 작가들에게 ‘그 무대’가 열린다. ‘2025 아트챌린저 공모전’은 단순한 예술 경연을 넘어, 예술가가 사회와 소통하고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현실적 도약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3년의 축적, 예술의 내일을 향해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회장,여운미)가 주최하는 ‘아트챌린저 공모전시’는 올해로 13회째를 맞는다. 그동안 수많은 작가들이 이 무대를 통해 전시의 두려움을 이겨냈고, 콜렉터와의 만남을 경험했으며, 다음 기회를 향한 발판을 마련해왔다. 예술계에서 이 공모전시는 예술 생태계를 건강하게 확장시키는 의미 있은 전시 무대이다. 참가 장르는 서양화, 동양화는 물론, 평면, 입체, 디자인, 디지털아트 등 최근 주목받는 AI 기반 창작물까지 포괄하며,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예술적 다양성을 수용하고 있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는 개방성도 또 하나의 강점이다. 경력이나 연령에 제한이 없고, 오직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