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컬럼

<김용민=인터뷰뉴스TV> '기본소득' 세금을 더 걷기 전 조달할 수 없다!... 이낙연 대표 그 말을 하기보다 '자기만의 미래전략'을 내놓는 게 낫다 

이낙연 대표는 그 말을 하기보다

<김용민 정치평론 방송인>


'나는 실현가능한 이걸로 국민을 행복하게 만들겠다'며
자기만의 미래전략을 내놓는 게 낫습니다. 
그간 이낙연표 비전으로 뭘 보여주셨습니까? '엄중'말고.

졸저 '마이너리티 이재명'에도 소개했지만 
이재명 지사는 그동안 기본소득 재원조달 방안이 있다며,
수차례에 걸쳐 구체적으로 내실있게 설명했습니다. 

부동산 부당이득, 플랫폼 사업자 외에 여러 재원...
하다못해 
정부의 이런저런 누수 예산 다 모으면 가능하다는 게 
이 지사의 구상이지요. 

비용이 터무니없이 많이 들까요?
월 5조(연 60조)면 전 국민 10만원 기본소득 가능합니다.
터무니없는 SOC 예산 줄이고, 
국민에게 나눠주는 건 극도로 아끼면서 뭔 일만 생기면
대기업, 금융회사에 퍼붓는 기재부를 제대로 지도 감독하면
실현 불가능할 일일까요?

그리고 그 기본소득이 4대강처럼 증발됩니까?
아니지요. 내수 활성화로 
상상을 초월할 경기 부양효과를 낳을 것입니다.
소비가 또다른 소비를 낳고 그 소비가 또다른 소비를 낳는
이른바 '승수효과'로 
세금은 더 걷히고 경제는 선순환 곡선을 그릴 겁니다.
그게 가능하냐고요? 
1차 재난지원금 당시 경기지표를 보세요. 
없는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게 아닙니다.)

재원마련 대책 중 특히 
한해 140조에 이르는 부동산 불로소득 환수에 밑줄 긋고.

사실 이건 아무나 할 수 있는 게 아닙니다.
웬만한 정책 실현의지없이는 가능한 일이 아닙니다.
부동산 기득권과의 피비린내나는 일전을 회피할 수 없습니다.

그런데 이재명은 할 것이라 했습니다. 
왜 이재명을 지지하냐고요?
뭐 한 번 해보지도 않도
안 된다, 내 능력 밖 일이다, 이러는 정치인이 아니니까요.
해보겠다고 하고 또 기회가 닿는대로 실험하려 애쓰며 
답을 만들어가는 사람에게 희망을 거는 건 당연하지요.

대권 꿈꾸는 여러 사람들이
재원 마련이 어려워 기본소득을 못하겠다는 말...
그건 무능하다는 자백에 다름 아닙니다. 

그래도 이재명보다는 낫습니까?
무능한 후보라도 그를 대통령으로 뽑아야 할 이유를 알려주세요.
시대정신이라든가, 인생역정이라든가, 정책성과라든가,
개혁의지라든가, 미래전략이라든가... 
'엄중'만으로 대통령 시켜줄 국민이 몇이나 있을까요?

지금 이낙연 대표에게 시련의 시간이지요.
그래서 지지율 추락 후 
갑자기 '개혁 드라이브'를 거는 걸로 보입니다.
그런데 이제 25일 남았군요. 진작에 하시지.
그러나 단발적으로, 모양만 흉내내서는 
교훈도 해법도 찾지 못하는 것입니다. 

 

※아직도 이재명 지사의 '도덕성' 운운합니다. 
적어도 이재명 지사는 검경 법원으로부터 탈탈 털려
'무죄'를 받아냈습니다. 
다른 후보들의 '도덕성'은 왜 이렇게 장담합니까?
아, 이재명 지사만 수사받은 거고 나머지는 안 받을 거니까?
그게 맞는다면, 이재명 지사만 표적이 되는 신세라면
검찰개혁 사법개혁을 위해서도
이재명이 답이 되겠네요. 라고 말했습니다.

 

 

Reported by

김학민 기자

김홍이 기자/PD


인터뷰컬럼

더보기
강선우 장관 후보, 감성적이고 편리적으로 보좌관을 대했고, 세밀한 부분과 인권의 아쉬움? 강선우 후보의 인품과 실력에 대해 의심할 필요없다!
[강선우 의원은 비가오나 눈이오나 민주당에 최선을 다하고있다] 김홍이 기자=강선우 여성가족부 정관 후보자에 대해 한시민이 이 글을 올리기까지 생각이 많았다고한다. 나는 강선우 의원과 페친도 아니도 지인도 아니다. 이재명대표가 소위 수박이라고 칭하는 의원들로 인해서 힘들던 21대 국회에서 이 대표와 함께한 대변인이 강선우 의원이었기에 이재명 대표를 잘 대변했으면 했다. 대표가 단식할 때 대변인이기에 대표 옆에 있으며 보인 강 의원의 우울한 표정과 자세가 마치 대표의 단식을 보는 나의 마음 같았다. 2년 전 가을 강서 구청장 재보선이 중요한 선거였기에 나름 강서구에도 가고 강서구에 사는 분들에게 연락도 하였다. 그래서 선거를 응원하는 분들을 보았다. 생각보다 다소 인간관계를 쌓으려는 분들이 있음을 보았기에 걱정이 들었다. 그런데 간절하게 돕는 강선우의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작년 22대 강 의원이 재선이 되고 작년 여름 남대문에서 윤석열탄핵 집회가 있을 때 강선우 의원을 옆에서 본 적이 있었다. 강한 볕인데 모자도 안 쓰고 반듯한 자세로 끝가지 참여하는 모습을 보며 고맙다는 마음도 들었고 직관적으로 진정성이 느껴졌다. 그래서 페북에 민주진영 응원 포스팅에 강 의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2025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에서 주최하는 '제13회 아트챌린저'가 공모를 시작했다.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작가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재능일까, 인내일까, 아니면 무대를 만나는 운일까. 2025년, 작가들에게 ‘그 무대’가 열린다. ‘2025 아트챌린저 공모전’은 단순한 예술 경연을 넘어, 예술가가 사회와 소통하고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현실적 도약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3년의 축적, 예술의 내일을 향해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회장,여운미)가 주최하는 ‘아트챌린저 공모전시’는 올해로 13회째를 맞는다. 그동안 수많은 작가들이 이 무대를 통해 전시의 두려움을 이겨냈고, 콜렉터와의 만남을 경험했으며, 다음 기회를 향한 발판을 마련해왔다. 예술계에서 이 공모전시는 예술 생태계를 건강하게 확장시키는 의미 있은 전시 무대이다. 참가 장르는 서양화, 동양화는 물론, 평면, 입체, 디자인, 디지털아트 등 최근 주목받는 AI 기반 창작물까지 포괄하며,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예술적 다양성을 수용하고 있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는 개방성도 또 하나의 강점이다. 경력이나 연령에 제한이 없고, 오직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