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컬럼

[칼럼] 김경호 변호사, 정성호 법무장관 지명자의 검찰개혁 천천히 발언에 한심한 인식, 검찰개혁의 포기 선언인가?

[정성호 법무부장관 후보자 포토]

 

김홍이 기자=김경호 변호사의 정성호 법무부 장관 지명자의 첫 일성이 ‘속도 조절’과 ‘국민 피해’ 운운이라니, 경악을 금치 못한다. 이는 대한민국 개혁의 핵심인 검찰개혁의 본질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안일하고 한심한 인식의 발로이다. 6.10 항쟁으로 피땀 흘려 쟁취한 민주주의를 내부에서 좀먹어 온 암적 존재가 바로 검찰이다. 그들은 법을 무기로 교묘하고 끈질기게 민주주의의 근간을 훼손해왔다.

 

▶ 검찰의 현란한 법 기술, ‘법꾸라지’의 민낯

 

이번 윤석열 반란 사태에서 검찰의 ‘법꾸라지’(법비) 행태는 그 추악한 민낯을 여실히 드러냈다. 박세현 검찰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공소장에서 그의 반란 수괴 혐의를 축소하고 핵심 증거를 고의로 누락하는 법 기술을 선보였다.

 

 ① 김용현의 실질적 수괴 역할 은폐: 김용현은 단순히 대통령의 지시를 따른 ‘중요임무종사자’가 아니다. 그는 계엄 시나리오 문건 작성부터 전군주요지휘관회의 주재, 체포 대상 지정까지 반란의 실질적 총책 역할을 수행했다. 박세현 검찰은 그가 윤석열과 함께 공동 반란 수괴로 평가될 수 있는 핵심적 행위들을 의도적으로 축소했다.

 

 ② “노상원 지시 = 김용현 지시” 고의 누락: 더욱 교활한 것은, 민간인 노상원이 계엄 준비를 실질적으로 지휘했으며, 김용현이 “노상원의 지시는 곧 내 지시”라고 명령한 사실을 공소장에서 통째로 들어낸 점이다. 이는 노상원의 범죄를 김용현의 범죄로 평가할 수 있는 핵심 연결고리를 끊어, 김용현에게 면죄부를 주려는 명백한 법률 농단이다.

 

 ③ 심우정의 궤변과 검찰의 이중잣대: 심우정 전 검찰총장은 위법한 구속취소 결정에 대해 검사의 즉시항고권을 포기하며 ‘법꾸라지’의 정점을 보여주었다. 헌법재판소는 이미 “구속집행정지에 대한 검사의 즉시항고”가 위헌임을 분명히 했다. 하지만 구속취소 결정에 대해서는 형사소송법상 즉시항고 규정이 존재하며, 이는 검사의 재량이 아닌 의무가 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내란 수괴와 같은 중대 범죄자에 대한 불법 석방 결정에 대해, 과거 유사 사례에서 일관되게 즉시항고 해온 관행이 있다면 평등원칙과 신뢰보호원칙에 따라 즉시항고는 기속행위가 된다. 이를 포기한 것은 명백한 직무유기이자 직권남용이다. 그렇게 윤석열을 최종 탈옥시켰다.

▶‘속도 조절’이라는 망상, 개혁의 골든타임을 놓칠 셈인가

 

  이렇듯 법을 엿가락처럼 주무르는 법 기술자들이 장악한 검찰 조직을 앞에 두고 ‘속도 조절’을 논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그들의 뿌리는 깊고 방법은 교활하여, 일거에, 신속하게 뿌리 뽑지 않으면 개혁은 불가능하다. 정성호 지명자의 인식은 마치 일제 해방 후 반민특위를 해체하고 친일 경찰을 등용했던 이승만 정권의 역사적 과오를 떠올리게 한다. ‘실무 경험’이라는 미명 아래 개혁에 저항했던 인물들을 중용하는 것은 검찰에게 ‘되치기’의 빌미를 주는 것과 다름없다.

 

▶ 이재명 정부는 반드시 명심해야 한다.

 

검찰개혁의 골든타임은 얼마 남지 않았다. 어설픈 봉합과 타협은 개혁의 실패를 자초할 뿐이다. 정성호 지명자와 같이 현실 안주적인 인물은 법무부 장관이 아니라 법대나 로스쿨 강단에 서는 것이 마땅하다. 지금 대한민국에 필요한 것은 한가로운 ‘속도 조절론’이 아니라, 국가의 명운을 걸고 검찰이라는 거악(巨惡)에 맞서 싸울 결기와 투쟁 정신이다. 정성호 지명자는 대한민국 법무부 장관의 자격이 없다. 즉각 사퇴하는 것이 국가와 국민을 위한 유일한 길이리고 주장해습니다.

 

 

 

Reported by 

김홍이/대표기자

이상철/선임기자

김경호/칼럼제공 변호사 


인터뷰컬럼

더보기
[칼럼] 김경호 변호사, 정성호 법무장관 지명자의 검찰개혁 천천히 발언에 한심한 인식, 검찰개혁의 포기 선언인가?
[정성호 법무부장관 후보자 포토] 김홍이 기자=김경호 변호사의 정성호 법무부 장관 지명자의 첫 일성이 ‘속도 조절’과 ‘국민 피해’ 운운이라니, 경악을 금치 못한다. 이는 대한민국 개혁의 핵심인 검찰개혁의 본질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안일하고 한심한 인식의 발로이다. 6.10 항쟁으로 피땀 흘려 쟁취한 민주주의를 내부에서 좀먹어 온 암적 존재가 바로 검찰이다. 그들은 법을 무기로 교묘하고 끈질기게 민주주의의 근간을 훼손해왔다. ▶ 검찰의 현란한 법 기술, ‘법꾸라지’의 민낯 이번 윤석열 반란 사태에서 검찰의 ‘법꾸라지’(법비) 행태는 그 추악한 민낯을 여실히 드러냈다. 박세현 검찰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공소장에서 그의 반란 수괴 혐의를 축소하고 핵심 증거를 고의로 누락하는 법 기술을 선보였다. ① 김용현의 실질적 수괴 역할 은폐: 김용현은 단순히 대통령의 지시를 따른 ‘중요임무종사자’가 아니다. 그는 계엄 시나리오 문건 작성부터 전군주요지휘관회의 주재, 체포 대상 지정까지 반란의 실질적 총책 역할을 수행했다. 박세현 검찰은 그가 윤석열과 함께 공동 반란 수괴로 평가될 수 있는 핵심적 행위들을 의도적으로 축소했다. ② “노상원 지시 = 김용현 지시” 고의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속보]심우정 검찰총장 어제[6월 30일] '사의 표명'... 심 총장, 7월1일 오후 3시 입장 밝힐 것
[심우정 검찰총장 출근 모습 포토] 김홍이 기자=심우정 검찰총장 7월1일 사의표명, 12시 30분경 신임 법무장관-민정수석 지명 이후 하루만이다. 이어 심우정 총장, 향후 특검 등 수사기관 수사 대상 될지 '주목'되고있다. 이어서 심우정 검찰총장이 사의를 표명했다. 尹 정부 두 번째 검찰총장으로서 총 2년 임기 중 절반도 채우지 못한 약 9개월만에 사표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심우정 총장이 어제 6월 30일 사의를 표명한 것으로 1일 확인됐으며, 이날 오후 3시께 입장을 밝힐 것으로 알려져 주목되고있다. 따라서 심우정 총장의 사의 표명은 정성호 법무부장관 후보자와 봉욱 대통령실 민정수석비서관이 지명된 지 하루 만에 사표를 낸 것이다. 당초 오광수 민정수석이 조기 낙마하면서 사의 시점이 미뤄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심우정 총장은 12.3 비상계엄 및 탄핵심판 국면에서 전직 대통령 윤석열씨의 구속취소 석방에 일조하면서 국민적 비난에 휩싸인 바 있고, 당시 지귀연 부장판사 재판부의 구속취소 결정에 즉시항고를 포함한 어떠한 불복 조치를 하지 않으면서 尹 전 대통령은 서울구치소에서 그대로 풀려났다. 그러면서도 구속기간 계산을 기존대로 '일수'로 그대로 하라고 일선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사)세계문화교류협회 문화사랑극단 “흥” 창단
(사)세계문화교류협회 산하에 문화사랑극단“흥”이 창단되었다. 열정적으로 활동중인 배우들 및 제작자들의 만남으로 이루어진 극단“흥”이 제 11회 끌림전(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 정기전)에서 선보일 낭독극(아 나혜석!)을 위하여 연습중에 있다. (끌림전은 2025년 7월 17일 세미갤러리에서 열린다.) “아 나혜석!!”(포스터) 나혜석(1896년~1948)일제강점기와대한민국의 화가이자 작가, 시인, 조각가, 여성운동가, 사회 운동가, 언론인.차미리사와 같은 여성 지식인으로 평가를 받았다 대한민국의 1대페미니스트라고도 불린다. 그녀는 일본 유학 당시 읽은 여성잡지를 통해 여성 계몽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이후 남녀 평등과 여성의 권리, 당시 사회의 문제점비 하는 글들을 투고하는 등 다양한 사회운동을 전개하였다 “아 나혜석!”(출연진) 극단 “흥”은 이러한 나혜석 화가의 삶을 반추하고 예술가 특히 미술인의 다각화된 재능을 연극이라는 분야에서 발현시킴으로서 복합문화예술의 지평을 넓히고자 한다. 위 낭독극은 7월 끌림전을 시작으로 9월 공식공연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배우들의 리딩연습(세문협제공) 예술 마을 그리다(박찬빈감독),소단샘(김명호단장),동대문연극협회(온성균교수)의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