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세계 30개국 재즈뮤지션 10년의 기록... 이다영 사진가 “jazz, On Stage” 사진집 발간 소식!!!

 

이다영 작가, 사진 작품집 전문 제작 출판사 "NAMIB"와 재즈 공연 전문 기획사 "플러스 히치"와 공동 프로젝트로 지난 10년간 세계 30개국이 넘는 재즈 뮤지션들의 공연 기록사진을 "Jazz On Stage" 사진집으로 제작하여 2021년 8월 24일 부터 10월 9일까지 와디즈 펀딩 통해 공개 중이다. 이다영의 이름은 재즈 음악가들 사이에서 익숙한 이름이다. 재즈 공연 기록 흑백 사진 속에 재즈 뮤지션들의 모습은 강렬한 순간들을 담아내고 있으며, 사진을 보면 당시 현장에서의 느꼈던 감정, 느낌, 음악, 무대, 조명, 빈 관객석과, 관객이 들어왔던 때의 느낌, 백스테이지의 느낌까지 얼마나 공을 들여 촬영했는지 볼 수 있다. 

작가의 30대 청춘을 바친 기록들이다. 지난 10년간 작가 삶의 한 페이지가 되어준 기록들이 이제 3권의 책으로 만들었다. 코로나가 덮친 세계는 모든 공연과 세계적 교류가 멈춰버렸다. 이 과정에서 공연 예술계는 직격탄을 맞게 되었고 이렇게 공연과 무대가 사라진 시간 동안 이다영 작가는 잠시 멈춤을 택했다. 사진집을 내기 위해 지난 1년이라는 시간동안 10년간 촬영했던 재즈 공연 기록 사진들을 편집을 했다.

촬영했던 사진들은 스피커를 통해 들려오는 음악으로 낯설지 않은 세상과의 틈과 뮤지션들의 열정을 채집하고 순간들을 시각화 시켰다. 재즈의 즉흥처럼 의도하지 않은 감정과 연주에서 오롯이 느껴지는 뮤지션들의 감정과 그들이 서 있는 무대라는 공간에서 함께 느끼고 있는 그대로를 기록한 사진은 마치 미국의 블루노트 레이블의 사진들처럼 오랜 시간이 지나도 많은 사람에게 기억되었으면 하는 작품들이다.

사진작가 이다영은 “코로나19로 멈춰진 세상에서도 공연과 예술을 기록한 작품집으로 독자들에게 동시대의 공연 예술 재즈 뮤지션들의 무대를 보여주고 싶었다. 시절의 소중함, 공연 무대의 그리움, 그 모든 것을 담았다. 사진가가 음악 예술가를 기록하고 공연을 보며 같은 시대를 살아간다는 것에 감사함 느껴 재즈뮤지션 공연현장을 사진집으로 대중들과 공유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작가는 시각예술에서 사진을 매체로 한 Fine Art, 사진, 영상, 영화, 다큐멘터리등 사진과 영상 등을 사용한 종합 예술 활동을 하고 있는 작가이다. 특히 사진 분야에서는 다큐멘터리와 재즈 공연 기록사진 촬영을 10년 이상 장기간 해왔다. 개인전 12회, 단체전 15회를 비롯해 뉴욕과 후쿠오카에서 해외 단체전 2회, 사진가로 KBS 4회 출연 및 2016년과 2017년 하반기에는 KBS 다큐공감 촬영감독으로 2회 참여 하였다. 오마쥬 필름 영화사에서 독립영화 촬영에 7회 참여한바 있으며, 2015년에는 서울 뉴욕 국제 사진전에서 입상을 하였다. 2018년에는 네이버 사진백과에 등재되었고, 2019년에는 Fine Art 작품인 “Two Perspectives” 작품집 출간과 2020년에는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 회장상을 수상하며 활동을 열정적으로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Reported by

강동희/문화관광환경기자

김학민/문화예술환경기자

김홍이/전청와대출입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천주교 정의구현사제단, 7월 7일 李 政部의 정성호 법무장관 후보의 검찰개혁, 이대로 괜찮은가??
[더불어민주당 김용민ㆍ민형배 의원 등 강력한 검찰개혁 서명서 발표 포토] 김홍이/이상철 기자=천주교 정의구현사제단의 성명서 7월 7일 정치는 낙관의 예술이다. 특히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어떤 암운 속에서도 희망의 불씨를 지켜온 우리 국민에겐 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희망은 맹신과 다르다. 희망은 더 나은 내일을 위해 오늘의 현실을 냉정하게 직시할 때 더욱 단단해진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 조심스레 ‘정성호 법무장관의 검찰개혁 구상’에 대해 깊은 우려와 건설적 견제를 함께 나눠야 한다. 정성호 장관은 서울법대 출신이다, 검사 출신은 아니나 검찰 조직과 학연·직연으로 엮인 사람이다. 그가 국회에서 언급한 “검찰개혁은 여야 합의로” “헌법상 검찰총장은 존재해야 한다”는 발언은 얼핏 중도적 균형감각처럼 보이지만, 실은 검찰의 구조적 권한 분산보다는 유지 내지 재편으로 들린다. 그가 제시한 ‘기소검찰청’과 ‘중대범죄수사검찰청’의 이원화 구상은 민주당이 일관되게 추진해온 ‘수사와 기소의 완전 분리’ 원칙을 흐리는 위험한 설계다. 결국 기존 검찰 권한의 분산이 아닌, 권력의 ‘복수화’에 그칠 공산이 크다. 기소 검찰총장 공소 검찰총장을 만들어 오히려 혹을 하나 더 븥이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세미갤러리, ‘2025 끌림전’ 개최, 예술로 이어진 14년의 이야기…
세미갤러리, ‘2025 끌림전’ 개최, 예술로 이어진 14년의 이야기… 세미갤러리가 주최하는 연례 전시회 ‘끌림전’이 2025년에도 이어진다. 2011년 중국 하얼빈 초청전시로 시작된 끌림전은 올해로 11회째를 맞는 장수전시행사로 동시대 미술의 다양성을 담아내며 지속적인 예술 교류의 장을 열어왔다. 끌림전 회원들사진 하얼빈에서 서울까지, ‘끌림’의 여정 ‘끌림전’은 그 이름처럼 예술이 사람을 끌어당기는 힘, 작가와 관람객 사이의 감정의 연결, 그리고 서로 다른 문화가 만나 만들어내는 교감을 주제로 삼는다. 첫 회인 2011년, 하얼빈에서의 전시를 기점으로 미술적 교류를 지향하며 시작된 본 전시는, 이후 매해 국내 다양한 작가들의 참여 속에 한국 현대미술의 정체성과 감수성을 녹여내 왔다. 참여작가들의 작품 7월17일(목) 세미갤러리에서 열리는 ‘2025 제11회 끌림전’은 전통적인 미술 매체뿐 아니라 디지털 아트, 설치, 퍼포먼스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이 함께한다. 참여 작가군은 신진작가부터 중견작가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스펙트럼을 형성해, 세대 간 예술적 해석의 차이와 그 속에서 피어나는 공감대를 조망한다. 홍대의작가의 퍼포먼스 세미갤러리는 단지 전시 공간을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