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해운대구, 홍순헌 해운대구청장ㆍ조미숙 홍보담당관, ‘2021 사회적경제박람회 ON&OFF’ 개최 밝혀!

3~5일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 … 사회적경제 제품․서비스 한자리에

<홍순헌 해운대구청장ㆍ구직원들은 함께 뛰어가며 찾아가는 적극행정서비스 달인 박수를 보냅니다>
  
홍순헌 해운대구청장, 3~5일 센텀 신세계백화점 지하 2층 광장에서 코로나19로 힘든 사회적경제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2021 해운대사회적경제박람회 ON&OFF’을 개최한다.
사회적기업전시관, 사회적기업체험관, 사회적기업홍보관으로 구성되며, 오전 10시 30분부터 오후 8시까지 진행된다. 백화점 운영시간과 동일하다.
사회적기업전시관에서는 사회적기업 소개, 제품전시, 사회적기업 서비스를 소개하는 20개 부스를 운영한다.
사회적기업체험관은 사회적기업 제품체험, 서비스체험, 업사이클제품 체험을 할 수 있다. 사회적기업홍보관에서는 사회적기업 현황 소개, 로고 소개, 우수사회적기업 제품을 소개한다. 
이번 행사로 사회적경제기업들은 판로개척의 기회를 갖고, QR코드 제작 등 온라인 판매를 위한 콘텐츠 제작을 지원받는다.
이와 함께 부스에서 제품을 전시, 판매하는 방식의 일반적인 박람회에는 참여할 수 없었던 서비스형 사회적경제기업들도 전시와 동영상 등으로 홍보에 나선다. 
해운대구가 주최하고 부산시가 후원해 자치구과 광역시가 함께하는 상생과 공존이라는 사회적가치가 돋보인다. 구는 사회적경제기업과 지역주민이 소통하는 이번 행사가 사회적경제기업에 조금이나마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Reported by

김홍이/뉴스탐사기자

강동희/문화관광환경기자

김학민/국회출입사진기자

정석철/국회출입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칼럼] 정 토 작가의 강릉의 물부족 자연재해 아닌 "인재"일 수밖에 없는 이유!!!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강릉시 전역에 가뭄으로 힘든 물부족사태를 현정지휘 점검하고있다. 강원도민일보 사진] 김홍이/손병걸 기자= 정토 작가는 31일 어떻게 공교롭게도 20년이상을 동해안(강릉-양양-속초)에서 살다보니 이사부장군과 지역현안을 연구하고, 강릉-양양에서 총선과 국립대 총장,양양군수 선거에서 공약을 만들다 보니 다양한 문제에 접근한 바 있다고 아래와 같이 밝혔다. 그 중 강릉의 남대천과 오봉댐, 상류의 도암댐과 관련 전략적으로 개입한 적 있는데, 남대천은 지금의 일직선화 된 것이 93년 밖에 되지않은 일본인군수 농택성이 자연형 옛 남대천을 매립하고 직선으로 물이 바다로 쉽게 빠지게 개량한 인공하천이라는 것이고, 오봉댐은 주변 산림을 뜯어버려 저장된 물을 흡수하기 힘는 단순냉장고의 형태라는 것이며, 상류의 도암댐은 필자가 예전 남대천살리기시민모임의 의뢰와 한수원의 후원으로 도암댐을 직접 촬영한 결과 흐르지않는 강물을 담수한 그야말로 관련지자체의 이해가 얽힌 정체된 담수라는 것이다. 이는 지역 위정자가 조금만 지역역사를 이해하면 왜? 지금의 남대천이 1932년까지 존재했던 옛남대천(강문-초당-경포-옥천 방향)처럼 천 년이상을 물이 머물며 경포호와 공존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2025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에서 주최하는 '제13회 아트챌린저'가 공모를 시작했다.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작가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재능일까, 인내일까, 아니면 무대를 만나는 운일까. 2025년, 작가들에게 ‘그 무대’가 열린다. ‘2025 아트챌린저 공모전’은 단순한 예술 경연을 넘어, 예술가가 사회와 소통하고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현실적 도약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3년의 축적, 예술의 내일을 향해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회장,여운미)가 주최하는 ‘아트챌린저 공모전시’는 올해로 13회째를 맞는다. 그동안 수많은 작가들이 이 무대를 통해 전시의 두려움을 이겨냈고, 콜렉터와의 만남을 경험했으며, 다음 기회를 향한 발판을 마련해왔다. 예술계에서 이 공모전시는 예술 생태계를 건강하게 확장시키는 의미 있은 전시 무대이다. 참가 장르는 서양화, 동양화는 물론, 평면, 입체, 디자인, 디지털아트 등 최근 주목받는 AI 기반 창작물까지 포괄하며,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예술적 다양성을 수용하고 있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는 개방성도 또 하나의 강점이다. 경력이나 연령에 제한이 없고, 오직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