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해운대구, 내년부터 모든 신생아 200만 원 지원... 홍순헌해운대구청장ㆍ조미숙 홍보담당관, 저출산 극복 출산지원금 성격 ‘첫만남이용권’ 지급 밝혔다!  

<홍순헌 해운대구청장 찾아가는 적극행정서비스 구민들로부터 찬사를 받고있는 지방자치단체장이다>

 

홍순헌 해운대구청장, 출산장려 분위기 조성을 위해 내년부터 모든 신생아에게 1인당 200만 원의 ‘첫만남이용권’을 지원한다.
출산 가정의 초기 양육 부담을 줄이고 아동 양육에 대한 국가 책임을 강화한 정부의 ‘첫째아부터 비용 지원, 둘째 이후 더 두텁게 지원’ 방침에 따른 것으로, 국·시비에 구비를 추가로 투입해 지원에 나선다. 전자바우처 형태로 지급하는 첫만남이용권은 유흥·레저·사행 업종을 제외한 의복, 식료품, 가구 등 아동 양육에 필요한 물품 구입과 지역 상권에서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출생일로부터 1년 이내 사용하면 되고, 기간 내 사용하지 않은 포인트는 사용종료일 후 자동 소멸된다.
신청은 복지로 웹사이트(www.bokjiro.go.kr)와 정부24 홈페이지(www.gov.kr)를 통해 온라인으로 하거나 거주지 동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해서 해도 된다. 주민들로부터 신청을 받은 후 지급 준비 과정을 거쳐 4월부터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해운대구는 첫만남이용권과 별개로 둘째아는 120만 원(시비 100만 원+구비 20만 원), 셋째아 이후는 150만 원(시비 100만 원+구비 50만 원)을 추가로 지급한다.
해운대구는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시책을 시행하고 있다. 특히, 아이를 키우는 부모들이 육아 경험과 정보를 공유하는 소통공간인 ‘공동육아나눔터’를 내년 상반기 중에 반여동에 개소할 예정이다. 마을이 함께 아이를 키우는 돌봄공동체 시범사업도 운영할 계획이다.
홍순헌 구청장은 “첫만남이용권 사업이 가정의 양육비 부담을 다소 덜어줄 것으로 기대한다. 대상자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사업 준비와 홍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Reported by

김홍이/뉴스탐사기자

강동희/문화기후환경기자

김학민/국회출입사진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칼럼] 정 토 작가의 강릉의 물부족 자연재해 아닌 "인재"일 수밖에 없는 이유!!!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강릉시 전역에 가뭄으로 힘든 물부족사태를 현정지휘 점검하고있다. 강원도민일보 사진] 김홍이/손병걸 기자= 정토 작가는 31일 어떻게 공교롭게도 20년이상을 동해안(강릉-양양-속초)에서 살다보니 이사부장군과 지역현안을 연구하고, 강릉-양양에서 총선과 국립대 총장,양양군수 선거에서 공약을 만들다 보니 다양한 문제에 접근한 바 있다고 아래와 같이 밝혔다. 그 중 강릉의 남대천과 오봉댐, 상류의 도암댐과 관련 전략적으로 개입한 적 있는데, 남대천은 지금의 일직선화 된 것이 93년 밖에 되지않은 일본인군수 농택성이 자연형 옛 남대천을 매립하고 직선으로 물이 바다로 쉽게 빠지게 개량한 인공하천이라는 것이고, 오봉댐은 주변 산림을 뜯어버려 저장된 물을 흡수하기 힘는 단순냉장고의 형태라는 것이며, 상류의 도암댐은 필자가 예전 남대천살리기시민모임의 의뢰와 한수원의 후원으로 도암댐을 직접 촬영한 결과 흐르지않는 강물을 담수한 그야말로 관련지자체의 이해가 얽힌 정체된 담수라는 것이다. 이는 지역 위정자가 조금만 지역역사를 이해하면 왜? 지금의 남대천이 1932년까지 존재했던 옛남대천(강문-초당-경포-옥천 방향)처럼 천 년이상을 물이 머물며 경포호와 공존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2025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에서 주최하는 '제13회 아트챌린저'가 공모를 시작했다.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작가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재능일까, 인내일까, 아니면 무대를 만나는 운일까. 2025년, 작가들에게 ‘그 무대’가 열린다. ‘2025 아트챌린저 공모전’은 단순한 예술 경연을 넘어, 예술가가 사회와 소통하고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현실적 도약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3년의 축적, 예술의 내일을 향해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회장,여운미)가 주최하는 ‘아트챌린저 공모전시’는 올해로 13회째를 맞는다. 그동안 수많은 작가들이 이 무대를 통해 전시의 두려움을 이겨냈고, 콜렉터와의 만남을 경험했으며, 다음 기회를 향한 발판을 마련해왔다. 예술계에서 이 공모전시는 예술 생태계를 건강하게 확장시키는 의미 있은 전시 무대이다. 참가 장르는 서양화, 동양화는 물론, 평면, 입체, 디자인, 디지털아트 등 최근 주목받는 AI 기반 창작물까지 포괄하며,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예술적 다양성을 수용하고 있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는 개방성도 또 하나의 강점이다. 경력이나 연령에 제한이 없고, 오직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