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도서출판 본북스, ‘한국의 영화감독 7인을 말하다’ 이탈리아판 출간

 

(서울=뉴스와이어) 2012년 03월 14일 -- 2009년 문화체육관광부의 우수교양도서로 선정되어 한국영화평론서로 각광받은 바 있는 ‘한국의 영화감독 7인을 말하다’가 이탈리아 버전으로 재 탄생됐다.

 

한국의 평론가들과 이탈리아 평론가들이 공동으로 참여한 책으로 국내 저자로는 주진숙(중앙대 연극영화학부 교수), 김명진(명지대 영화뮤지컬학부 교수), 문재철(중앙대 첨단영상대학원 교수), 이상용(부산영화제 프로그래머)이며, 이탈리아 저자로는 파올로 베르톨리니(영화기자, 전 베니스영화제 영화 선정위원), 안드레아 벨라비타(영화학 교수), 알렉산드로 바라티, 마르코 그로솔리(영화평론가)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다양한 각도에서 ‘해외에서 주목 받는 한국 영화감독 7인-이창동, 봉준호, 박찬욱, 홍상수, 김기덕, 임상수, 김지운’에 대한 총 8편의 감독론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해외 영화 평론을 접하기 쉽지 않은 독자들에게 한국 영화를 세계적 프레임에서 새롭게 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 바 있다.

 

한국국제교류재단(www.kf.or.kr)의 출판 지원을 받아 출간된 이탈리아판 ‘한국의 영화감독 7인을 말하다(Dialoghi a Distanza_Critici Coreani e Italiani Parlano di 7 Registi Coreani)’는 아시아 영화로 유럽 영화인의 주목을 끌고 있는 이탈리아에서 개최되는 영화제들(피렌체 한국 영화제, 코르티소니치 국제단편영화제, 우디네영화제 등)에 배포된다. 따라서, 이탈리아 독자들에게는 책을 통해 한국 평론가의 비평적 견해를 접하고, 한국영화의 역사적 맥락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더불어 외신 기자, 이탈리아 영화인, 평론가에게 책을 발송하여, 한국영화 홍보의 매개체로 삼을 예정이라고 도서출판 본북스 측은 밝혔다.

 

이탈리아판에서는 7인의 한국영화감독에 대한 소개뿐 아니라, 이탈리아의 코르티소니치국제단편영화제의 아트디렉터인 잔루카 지빌라로가 한국영화 역사에 간략한 소개글과 한국영화가 어떻게 이탈리아에 소개되기 시작했는지 알수 있는 글이 실려있다. 또한 피렌체에서 10년째 한국영화를 소개하는 피렌체한국영화제(www.koreafilmfest.com, 2012.3.23~3.31)와 한국에서 한국-이탈리아간 영화를 통한 문화교류를 목적으로 개최되고 있는 뉴이탈리아영화예술제(www.ifaf.co.kr)를 소개한다.. 또한 온라인상에서 양국의 영화정보를 제공하는 이탈치네마(www.italcinema.com)와 치네마코레아노(www.cinemacorano.it)를 소개한다.

 

한국국제교류재단의 출판지원사업에 번역을 맡은 정란기는 이탈리아 영화 관련 서적 출간과 더불어 한-이간 문화교류 사업을 하고 있다. 공동 번역한 로베르타 실바(Roberta Silva)는 국비 장학생으로 한양대학교에서 연극영화학과 석사를 졸업하였으며 이탈리아에서 통·번역가로 활동 중에 있다.

 

영화진흥위원회에 따르면, 한국영화의 완성작 해외 매출 총액은 1,546만 달러(약 178억원)로 전년 대비 13.8% 증가했다. 해외로 진출한 한국영화 수는 276편에서 358편으로 82편 늘었다.

 

뿐만 아니라 한류열풍의 확산으로, 한국영화의 유럽시장이 점차 넓어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이번 책을 통한 비평의 교류는 한국영화에 대해 보다 깊이 있는 접근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폭넓은 한국영화의 스펙트럼 확장과 더불어, 더욱 풍성한 지적· 문화적 파급 효과를 기대해본다.

 

‘한국의 영화감독 7인을 말하다’
- 이탈치네마 기획, 주진숙 외 지음
- Dialoghi a distanza_Critici Coreani 3 Italiani Parlano di 7 Registi
- 주진숙 외 지음 정란기, 로베르타 실바 옮김

 

문의 : 본북스 (02)-575-3670


http://www.ifaf.co.kr
출처: 도서출판 본북스


인터뷰컬럼

더보기
[칼럼] 정 토 작가의 강릉의 물부족 자연재해 아닌 "인재"일 수밖에 없는 이유!!!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강릉시 전역에 가뭄으로 힘든 물부족사태를 현정지휘 점검하고있다. 강원도민일보 사진] 김홍이/손병걸 기자= 정토 작가는 31일 어떻게 공교롭게도 20년이상을 동해안(강릉-양양-속초)에서 살다보니 이사부장군과 지역현안을 연구하고, 강릉-양양에서 총선과 국립대 총장,양양군수 선거에서 공약을 만들다 보니 다양한 문제에 접근한 바 있다고 아래와 같이 밝혔다. 그 중 강릉의 남대천과 오봉댐, 상류의 도암댐과 관련 전략적으로 개입한 적 있는데, 남대천은 지금의 일직선화 된 것이 93년 밖에 되지않은 일본인군수 농택성이 자연형 옛 남대천을 매립하고 직선으로 물이 바다로 쉽게 빠지게 개량한 인공하천이라는 것이고, 오봉댐은 주변 산림을 뜯어버려 저장된 물을 흡수하기 힘는 단순냉장고의 형태라는 것이며, 상류의 도암댐은 필자가 예전 남대천살리기시민모임의 의뢰와 한수원의 후원으로 도암댐을 직접 촬영한 결과 흐르지않는 강물을 담수한 그야말로 관련지자체의 이해가 얽힌 정체된 담수라는 것이다. 이는 지역 위정자가 조금만 지역역사를 이해하면 왜? 지금의 남대천이 1932년까지 존재했던 옛남대천(강문-초당-경포-옥천 방향)처럼 천 년이상을 물이 머물며 경포호와 공존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2025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에서 주최하는 '제13회 아트챌린저'가 공모를 시작했다.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작가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재능일까, 인내일까, 아니면 무대를 만나는 운일까. 2025년, 작가들에게 ‘그 무대’가 열린다. ‘2025 아트챌린저 공모전’은 단순한 예술 경연을 넘어, 예술가가 사회와 소통하고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현실적 도약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3년의 축적, 예술의 내일을 향해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회장,여운미)가 주최하는 ‘아트챌린저 공모전시’는 올해로 13회째를 맞는다. 그동안 수많은 작가들이 이 무대를 통해 전시의 두려움을 이겨냈고, 콜렉터와의 만남을 경험했으며, 다음 기회를 향한 발판을 마련해왔다. 예술계에서 이 공모전시는 예술 생태계를 건강하게 확장시키는 의미 있은 전시 무대이다. 참가 장르는 서양화, 동양화는 물론, 평면, 입체, 디자인, 디지털아트 등 최근 주목받는 AI 기반 창작물까지 포괄하며,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예술적 다양성을 수용하고 있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는 개방성도 또 하나의 강점이다. 경력이나 연령에 제한이 없고, 오직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