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대선여론조사> KBS 대구방송과 영남일보, '영남지역 여론조사' 윤석열 전 총장 51.8%, 이재명 경기지사 13.8% 조사됐다

 

대구경북 시·도민들은 차기 대권주자로 윤석열 전 검찰총장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남일보와 KBS대구방송총국이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에이스리서치'에 의뢰해 대구경북 지역민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 결과, 윤석열 전 총장이 51.8%로 가장 높은 지지율을 보였다.

<윤석열 전 검찰총장>

 

다음으로는 이재명 경기지사가 13.8%, 홍준표 국회의원(무소속) 11.5%,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6.5%), 유승민 전 의원(국민의힘) 3.6%, 정세균 국무총리(2.0%) 순이었다.

대구에서는 윤석열(50.5%), 이재명(13.9%), 홍준표(13.2%), 이낙연(5.5%), 유승민(4.1%), 정세균(1.2%) 순이었고, 경북에서는 윤석열(53.0%), 이재명(13.2%), 홍준표(9.9%), 이낙연(7.4%), 유승민(3.1%), 정세균(2.8%)순으로 지지율이 높았다.

<이재명 경기지사>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에서는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49.7%로 가장 높았고 이낙연(27.3%), 윤석열(6.3%), 정세균(2.7%), 유승민(2.4%), 홍준표(2.0%)의 순으로 조사됐다.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68.3%의 지지율로 압도적인 가운데 홍준표(13.8%), 유승민(4.5%), 이재명(4.0%), 이낙연(2.3%), 정세균(1.5%) 순으로 나타났다.

지지정당이 없다고 밝힌 무당층에서는 윤석열(42.0), 홍준표(9.2%), 이재명(7.5%), 이낙연(5.4%), 정세균(3.7%), 유승민(0.9%) 순이었다.

TK 지역에서 윤석열 전 총장의 지지율이 높은 데는, 지역에서 대선급 주자가 보이지 않는 점과 검찰개혁에 저항하다 사퇴한 점, 윤석열 전 총장이 보수 후보로 거론되는 점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조재목 에이스리서치 대표는 "추미애 전 법무부장관과의 갈등, 반문 정서의 대척점에서 투쟁하며 사퇴한 점, 윤 전 총장이 대구를 고향 같다고 말한 점 등이 보수지역 정서에 먹혀들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앞서 윤석열 전 검찰총장은 총장직을 사퇴하기 하루 전인 지난 3일 대구고검·
지검을 찾은 자리에서 "초임 근무지로 대구에서 근무했고 어려웠던 시절 2년간 따뜻하게 품어줬던 고장"이라며 "고향에 온 것 같은 느낌"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정당지지율에서도 국민의힘이 62.3%의 지지를 보여, 14.5%의 지지율을 보인 더불어민주당보다 크게 높았다. 다음으로 국민의당 3.3%, 정의당 2.8%, 열린민주당 2.0%의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지난 6일과 7일 대구경북 만 18세 이상 지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자동응답(ARS·무선 휴대전화 가상번호 70.8%+유선 29.2%) 방식으로 진행했으며 응답률은 2.2%,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이다.

"이번 여론조사의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ported by

김학민 기자

조설 기자/국회출입기자

김홍이 기자/ 편집국장

권오춘 사진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칼럼] 정 토 작가의 강릉의 물부족 자연재해 아닌 "인재"일 수밖에 없는 이유!!!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강릉시 전역에 가뭄으로 힘든 물부족사태를 현정지휘 점검하고있다. 강원도민일보 사진] 김홍이/손병걸 기자= 정토 작가는 31일 어떻게 공교롭게도 20년이상을 동해안(강릉-양양-속초)에서 살다보니 이사부장군과 지역현안을 연구하고, 강릉-양양에서 총선과 국립대 총장,양양군수 선거에서 공약을 만들다 보니 다양한 문제에 접근한 바 있다고 아래와 같이 밝혔다. 그 중 강릉의 남대천과 오봉댐, 상류의 도암댐과 관련 전략적으로 개입한 적 있는데, 남대천은 지금의 일직선화 된 것이 93년 밖에 되지않은 일본인군수 농택성이 자연형 옛 남대천을 매립하고 직선으로 물이 바다로 쉽게 빠지게 개량한 인공하천이라는 것이고, 오봉댐은 주변 산림을 뜯어버려 저장된 물을 흡수하기 힘는 단순냉장고의 형태라는 것이며, 상류의 도암댐은 필자가 예전 남대천살리기시민모임의 의뢰와 한수원의 후원으로 도암댐을 직접 촬영한 결과 흐르지않는 강물을 담수한 그야말로 관련지자체의 이해가 얽힌 정체된 담수라는 것이다. 이는 지역 위정자가 조금만 지역역사를 이해하면 왜? 지금의 남대천이 1932년까지 존재했던 옛남대천(강문-초당-경포-옥천 방향)처럼 천 년이상을 물이 머물며 경포호와 공존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2025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에서 주최하는 '제13회 아트챌린저'가 공모를 시작했다.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작가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재능일까, 인내일까, 아니면 무대를 만나는 운일까. 2025년, 작가들에게 ‘그 무대’가 열린다. ‘2025 아트챌린저 공모전’은 단순한 예술 경연을 넘어, 예술가가 사회와 소통하고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현실적 도약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3년의 축적, 예술의 내일을 향해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회장,여운미)가 주최하는 ‘아트챌린저 공모전시’는 올해로 13회째를 맞는다. 그동안 수많은 작가들이 이 무대를 통해 전시의 두려움을 이겨냈고, 콜렉터와의 만남을 경험했으며, 다음 기회를 향한 발판을 마련해왔다. 예술계에서 이 공모전시는 예술 생태계를 건강하게 확장시키는 의미 있은 전시 무대이다. 참가 장르는 서양화, 동양화는 물론, 평면, 입체, 디자인, 디지털아트 등 최근 주목받는 AI 기반 창작물까지 포괄하며,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예술적 다양성을 수용하고 있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는 개방성도 또 하나의 강점이다. 경력이나 연령에 제한이 없고, 오직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