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협, 2022년 제10회 아트챌린저 공모전 전시 및 시상식 열려!

세미협TV_아트챌린저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에서 운영하는 세미협TV,

1.작가와 콜렉터들을 연결하며

2.작가와 대화를 통해 작품세계를 듣고

3.대한민국 예술인을 소개

4.아티스트 톡과 문화예술을 소개하는 방송

..............

2022년 제10회 아트첼린저 시상식 및 전시

일시 : 2022년 10월7일  오후3시

장소 : 세미갤러리 (02-749-6652.6656)

.....

인사말: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 회장 여운미

축 사 : (사)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회장 이범헌

축 사 :(사) 한국미술협회 #이사장 이광수

축 사 :한국예술문화명인진흥회 이사장 황의철

.......

후 원: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한국민술협회, 한국예술명인진흥회,

          한국사진방송, 인터뷰뉴스TV, 세미협TV

심사위원: 김종문 교수, 이재민 교수, 주미경 교수, 정해광 작가,

               여운미 회장, 허은오 교수, 이득효 부회장
 

<2022년 제10회 아트챌린저 수상자 명단>

*대상_이희민


*최우수상_최서윤

 

*2022올해의 작가상_(사)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후후, 오정숙

 

*2022올해의 작가상_사단법인한국미술협회

라미, 박수정

 

*2022올해의 작가상_한국예술문화명인진흥회

양경남, 박은영

 

*금상

홍대의

 

*은상

김영수, 이현정

 

*동상

박주성, 장수연, 정루, 정은이, 차연지

 

*특선

고승연, 곽근화, 김원희, 김은형, 김현수,

남미경, 문사무엘, 박소연, 박인숙, 이기구,

이수연, 이은미, 이준혁, 저우디, 조성철,

조신욱, 최와우와우, 한아리, 황송원

 

*입선

강양희, 강필원, 권영덕, 김소이, 김수지, 김영단,

김지원, 김희진, 박소정, 박영희, 신왕기, 안세종,

윤주현, 이관수, 이기구, 이은미, 이주상, 이준혁,

저우디, 최서윤, 최혜경, 허채림

 

 

 

 

 

 

 

Reported by

여은미/세미협 회장겸 선임기자

김학민/문화예술환경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칼럼] 정 토 작가의 강릉의 물부족 자연재해 아닌 "인재"일 수밖에 없는 이유!!!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강릉시 전역에 가뭄으로 힘든 물부족사태를 현정지휘 점검하고있다. 강원도민일보 사진] 김홍이/손병걸 기자= 정토 작가는 31일 어떻게 공교롭게도 20년이상을 동해안(강릉-양양-속초)에서 살다보니 이사부장군과 지역현안을 연구하고, 강릉-양양에서 총선과 국립대 총장,양양군수 선거에서 공약을 만들다 보니 다양한 문제에 접근한 바 있다고 아래와 같이 밝혔다. 그 중 강릉의 남대천과 오봉댐, 상류의 도암댐과 관련 전략적으로 개입한 적 있는데, 남대천은 지금의 일직선화 된 것이 93년 밖에 되지않은 일본인군수 농택성이 자연형 옛 남대천을 매립하고 직선으로 물이 바다로 쉽게 빠지게 개량한 인공하천이라는 것이고, 오봉댐은 주변 산림을 뜯어버려 저장된 물을 흡수하기 힘는 단순냉장고의 형태라는 것이며, 상류의 도암댐은 필자가 예전 남대천살리기시민모임의 의뢰와 한수원의 후원으로 도암댐을 직접 촬영한 결과 흐르지않는 강물을 담수한 그야말로 관련지자체의 이해가 얽힌 정체된 담수라는 것이다. 이는 지역 위정자가 조금만 지역역사를 이해하면 왜? 지금의 남대천이 1932년까지 존재했던 옛남대천(강문-초당-경포-옥천 방향)처럼 천 년이상을 물이 머물며 경포호와 공존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한류 인기몰이 '케데헌' 속 더피와 수지 '호작도' 최초 공개
한류 인기몰이 '케데헌' 속 더피와 수지 '호작도' 최초 공개 한류 인기몰이의 중심이 된 케이팝 데몬 헌터스 속 더피와 수지 '호작도' 가 리움미술관에서 최초 공개 되었다. 연령 상관없이 세계적으로 열광 중인 '케이팝데몬헌터스'가 인기를 끌면서 한국의 전통 회화 장르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피카소 호랑이’는 19세기에 제작된 호작도 중 하나로, 단순하고 추상적인 선, 노란 호피 문양, 해학적인 표정 등이 특징이에. 이 표현이 피카소의 화풍을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피카소호랑이'라는 별명이 붙게 되었다. 또, 1988년 서울올림픽 마스코트 ‘호돌이’의 시각적 원천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대 한국 디자인사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서울 한남동 리움미술관에서 열리는 전시에서는 총 7점의 주요 작품이 공개된다 까치호랑이 虎鵲’展이라는 제목으로 열리는 이번 기획전은 조선 시대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민화의 대표 주제인 ‘호작도(虎鵲圖)’를 집중 조명한다. 여기에 더해 1874년 신재현이 그린 호작도, 그리고 단원 김홍도의 ‘송하맹호도’ 등도 함께 전시돼, 다양한 시대와 화풍 속에서 호랑이와 까치가 어떻게 해석되어 왔는지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전시는 오는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