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천톡)=14번째 '이외수 작가와 김학민 뮤직스케치 전국 시낭송페스티발'이 열렸다

     

김학민 뮤직스케치의 (뮤천톡)14 번째  '이외수작가와 함께하는 전국 시낭송 페스티발'

 

뮤천톡14번쩨 이외수 작가와 함께하는 전국 시낭송페스티발이  2019년11월2일(토) 화천군 소재 이외수문학관에서 열렸다.
뮤천톡(김학민 뮤직스케치와 천인톡크콘서트).한맥논단에서 주관, 뮤천톡,시향서울낭송회(회장 서담재), 한국공연문화예술원(회장 서수옥), 한국시낭송선교회(회장 이강철), 스피치문화포럼, 한맥논단이 주최하여 서예퍼포먼스 신평 김기상은 시낭송가들과 예인이 함께하는 뮤천톡 이외수와 함께하는 전국시낭송페스티벌을 힘있는 필체로 이번 행사의 첫단추를 열었고 우클렐레의 채수혁교수의 연주의 색다른 맛은 시작을 알리는 산소였다. 
 김재화 박사의 사회로 전설의 그룹 검은나비의 김혜정, 윤신호의 열창으로 오프닝을 하고 곧이어 이외수 작가의 대한민국 현실에 뒷전에 밀려있는 문화예술인의 자긍심과 비젼을 심어주고 자작곡과 앵콜 곡까지 받아주었다. 
이민구 시 노래가수의 시 노래에 이어서 본격적인 전국 시낭송페스티벌이 시작되었다. 시낭송가 김상희. 석영자. 합송 한옥례, 오경복씨가 권금희. 성수옥 원장이 시 노래가수 이민구의 기타 선율에 맞춰 낭송을하고 깜짝 시낭송으로 한국문학신문 심명구 대기자가 낭송을 하였다.  스위스에서 인정한 최초의 라이센스를 가지고있는 요들러 서용율의 화천의 둘러쌓인 산이야기로 아름다운 요들이 메아리쳤다. 
이어서 시향서울낭송회원 개그맨 김정수의 사회로 신영애 문수점 김광미 이춘옥의 낭송에이어 서담재 회장과 6인의 시극 퍼포먼스가 이민구 기타연주에 의해 모두에게 흐뭇한 웃음을 주어 분위기를 더했다 만담하면 장소팔과 고춘자 그의 아들 장광팔 만담가가 대를 이어 문학과 대중음악을 아우르는 공연으로 색다른 격을 높여주었다.
한국시낭송선교협회 이강철 회장과 전명자 낭송가의 낭송이 참여한 시낭송 협회와 개인의 시 향연은 왜 시가 우리에게 마음의 양식이라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는 공연이었다.
이태리국제성악콩쿨에서 그랑프리를 차지한 최경아 소프라노의 대중과 호흡하는 솜씨와 한국의 대표적인 국민가요 골목길의 댄스가수 원조 이재민의 공연이 모두의 감성과 흥으로 가득 채워주었다.  끝으로 세계 최초로 즉문즉송 가수 김학민 뮤직스케치의 즉석 노래로 행사의 의미를 더했고 새로운 스타일로 해석한  '봄날은 간다' 로 기타연주와 천상을 울리는 감동적인 목소리로 공연을 보여 주는 등 다채로은 프로그램으로 이날의 의미있는 막을 내렸다. 

                   

Reported by 

김학민 기자 

나영철 기자

김홍이 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칼럼] 정 토 작가의 강릉의 물부족 자연재해 아닌 "인재"일 수밖에 없는 이유!!!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강릉시 전역에 가뭄으로 힘든 물부족사태를 현정지휘 점검하고있다. 강원도민일보 사진] 김홍이/손병걸 기자= 정토 작가는 31일 어떻게 공교롭게도 20년이상을 동해안(강릉-양양-속초)에서 살다보니 이사부장군과 지역현안을 연구하고, 강릉-양양에서 총선과 국립대 총장,양양군수 선거에서 공약을 만들다 보니 다양한 문제에 접근한 바 있다고 아래와 같이 밝혔다. 그 중 강릉의 남대천과 오봉댐, 상류의 도암댐과 관련 전략적으로 개입한 적 있는데, 남대천은 지금의 일직선화 된 것이 93년 밖에 되지않은 일본인군수 농택성이 자연형 옛 남대천을 매립하고 직선으로 물이 바다로 쉽게 빠지게 개량한 인공하천이라는 것이고, 오봉댐은 주변 산림을 뜯어버려 저장된 물을 흡수하기 힘는 단순냉장고의 형태라는 것이며, 상류의 도암댐은 필자가 예전 남대천살리기시민모임의 의뢰와 한수원의 후원으로 도암댐을 직접 촬영한 결과 흐르지않는 강물을 담수한 그야말로 관련지자체의 이해가 얽힌 정체된 담수라는 것이다. 이는 지역 위정자가 조금만 지역역사를 이해하면 왜? 지금의 남대천이 1932년까지 존재했던 옛남대천(강문-초당-경포-옥천 방향)처럼 천 년이상을 물이 머물며 경포호와 공존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한류 인기몰이 '케데헌' 속 더피와 수지 '호작도' 최초 공개
한류 인기몰이 '케데헌' 속 더피와 수지 '호작도' 최초 공개 한류 인기몰이의 중심이 된 케이팝 데몬 헌터스 속 더피와 수지 '호작도' 가 리움미술관에서 최초 공개 되었다. 연령 상관없이 세계적으로 열광 중인 '케이팝데몬헌터스'가 인기를 끌면서 한국의 전통 회화 장르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피카소 호랑이’는 19세기에 제작된 호작도 중 하나로, 단순하고 추상적인 선, 노란 호피 문양, 해학적인 표정 등이 특징이에. 이 표현이 피카소의 화풍을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피카소호랑이'라는 별명이 붙게 되었다. 또, 1988년 서울올림픽 마스코트 ‘호돌이’의 시각적 원천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대 한국 디자인사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서울 한남동 리움미술관에서 열리는 전시에서는 총 7점의 주요 작품이 공개된다 까치호랑이 虎鵲’展이라는 제목으로 열리는 이번 기획전은 조선 시대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민화의 대표 주제인 ‘호작도(虎鵲圖)’를 집중 조명한다. 여기에 더해 1874년 신재현이 그린 호작도, 그리고 단원 김홍도의 ‘송하맹호도’ 등도 함께 전시돼, 다양한 시대와 화풍 속에서 호랑이와 까치가 어떻게 해석되어 왔는지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전시는 오는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