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 제9회 한국창작문화예술대전 시상식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에서 주관하는 “제9회 한국창작문화예술대전”시상식은

다양한 쟝르의 미술인을 발굴하고 전업작가를 지향하는 미술인을 지원하기 위한 문화예술대전이었다. 

 

대상 수상자(박덕은, 양경남), 우수상(김남훈), 작가상(박인숙 외 박소희),

금상(신귀례 외 황송원)작가가 수상하였다. 

 

 

 

 

시상을 축하하기 위해 주요 내빈 분들께서 참석해 주시어 시상해 주셨다.

심사위원으로 권대하 작가(명동국제아트페스티벌조직위원장), 

허은오 교수(숙명여자대학교 초빙강사)가 참석하였다.

그외 참석자 (초대손님 )

권영섭 회장(원로만화가협회회장), 김명호 단장(소단샘문화예술극단), 김춘화 작가(한국미술협회 고문),

서봉남 화백(한국미술협회 고문), 손연숙 박사(전 윤명길장학회 이사장), 이득효 단장(필뮤직),

이재명 원장 [(사)세계문화교류협회],  이해옥 대표(아롱다롱TV), 전철수 (서울시 의원 前),

정의식 대표(이치저널), 정태만 작가(한국사진방송 국장), 채규용 회장(퀵복싱협회장) 

심사평으로 허은오 교수는 "작품의 창작성과 완성도에 기준을 두고 예술성, 기술성,

후 활용가능성을 고려하여 심사를 진행하였으며 주제의 확장성과 표현의 다양성을 통해

한국예술의 발전을 엿볼 수 있었다." 고 말하였다.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 유투브에서 시상식 진행 사진 및 수상작가들의 기념 사진을 영상으로 담아 보았다.

 

올해로 10주년을 맞이한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는 비영리단체로서 회원들의 창작활동과

연구개발 지원사업을 하며, 국내외 전시 교류를 통하여 작가들이 창작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국가와 사회발전에 이바지해왔다.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회장, 여운미)는 신예작가 지원 및 전시기회를 제공 할 것 임을 인사말에서 강조하며,

년중 행사인 “7월에 열리는 끌림전과 10월에 열리는 아트챌린저 공모전”도 기획중이다.

 

▶제9회 한국창작문화예술대전 대상 수상 작가(박덕은, 양경남) 작품 및 간략 프로필 

■박덕은 작가 프로필

-전북대학교 문학박사

-대한민국문화예술인총연합회 추천작가

-대한민국유명작가전 초대작가

-한국노벨재단 이사

-새한일보 논설위원

-전)전남대학교 교수

-위대한 대한민국 국민대상 수상

-공로훈장 수상

■양경남 작가 프로필

-사단법인세계문화교류협회 부회장

-자밀라양 주얼리하우스 / 디자인컨소시엄 아트자밀라 대표

-2019 제19회 국제주얼리디자인공모전 심사위원(KJDA)

-2018 국제주얼리디자인공모전 심사위원

-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졸업

 

       김학민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강선우 장관 후보, 감성적이고 편리적으로 보좌관을 대했고, 세밀한 부분과 인권의 아쉬움? 강선우 후보의 인품과 실력에 대해 의심할 필요없다!
[강선우 의원은 비가오나 눈이오나 민주당에 최선을 다하고있다] 김홍이 기자=강선우 여성가족부 정관 후보자에 대해 한시민이 이 글을 올리기까지 생각이 많았다고한다. 나는 강선우 의원과 페친도 아니도 지인도 아니다. 이재명대표가 소위 수박이라고 칭하는 의원들로 인해서 힘들던 21대 국회에서 이 대표와 함께한 대변인이 강선우 의원이었기에 이재명 대표를 잘 대변했으면 했다. 대표가 단식할 때 대변인이기에 대표 옆에 있으며 보인 강 의원의 우울한 표정과 자세가 마치 대표의 단식을 보는 나의 마음 같았다. 2년 전 가을 강서 구청장 재보선이 중요한 선거였기에 나름 강서구에도 가고 강서구에 사는 분들에게 연락도 하였다. 그래서 선거를 응원하는 분들을 보았다. 생각보다 다소 인간관계를 쌓으려는 분들이 있음을 보았기에 걱정이 들었다. 그런데 간절하게 돕는 강선우의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작년 22대 강 의원이 재선이 되고 작년 여름 남대문에서 윤석열탄핵 집회가 있을 때 강선우 의원을 옆에서 본 적이 있었다. 강한 볕인데 모자도 안 쓰고 반듯한 자세로 끝가지 참여하는 모습을 보며 고맙다는 마음도 들었고 직관적으로 진정성이 느껴졌다. 그래서 페북에 민주진영 응원 포스팅에 강 의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세미갤러리, ‘2025 끌림전’ 개최, 예술로 이어진 14년의 이야기…
세미갤러리, ‘2025 끌림전’ 개최, 예술로 이어진 14년의 이야기… 세미갤러리가 주최하는 연례 전시회 ‘끌림전’이 2025년에도 이어진다. 2011년 중국 하얼빈 초청전시로 시작된 끌림전은 올해로 11회째를 맞는 장수전시행사로 동시대 미술의 다양성을 담아내며 지속적인 예술 교류의 장을 열어왔다. 끌림전 회원들사진 하얼빈에서 서울까지, ‘끌림’의 여정 ‘끌림전’은 그 이름처럼 예술이 사람을 끌어당기는 힘, 작가와 관람객 사이의 감정의 연결, 그리고 서로 다른 문화가 만나 만들어내는 교감을 주제로 삼는다. 첫 회인 2011년, 하얼빈에서의 전시를 기점으로 미술적 교류를 지향하며 시작된 본 전시는, 이후 매해 국내 다양한 작가들의 참여 속에 한국 현대미술의 정체성과 감수성을 녹여내 왔다. 참여작가들의 작품 7월17일(목) 세미갤러리에서 열리는 ‘2025 제11회 끌림전’은 전통적인 미술 매체뿐 아니라 디지털 아트, 설치, 퍼포먼스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이 함께한다. 참여 작가군은 신진작가부터 중견작가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스펙트럼을 형성해, 세대 간 예술적 해석의 차이와 그 속에서 피어나는 공감대를 조망한다. 홍대의작가의 퍼포먼스 세미갤러리는 단지 전시 공간을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