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용산구, 2021년도 지방재정공시… 성장현 용산구청장, 살림규모 1644억원↑살림규모 7902억원..'건전재정' 운용 밝혔다!

(서울 용산구 성장현 구청장 포토 포즈)

 

성장현 용산구청장, 2020회계연도 결산 기준 ‘2021년도 지방재정 공시’를 구 홈페이지 행정정보(예산/재정정보)란에 게시했다.

 재정공시는 1년간 재정운용 결과와 주민 관심사항 등을 객관적 절차를 통해 주민에게 공개하는 제도다.

 2020회계연도 기준 용산구 살림규모는 7902억원이다. 2019년 대비 1644억원 늘었다.

살림규모란 ▲자체수입 ▲이전재원 ▲내부거래를 모두 합친 금액이다. 지난해 구 자체수입(지방세, 세외수입)은 2140억원, 이전재원(지방교부세, 조정교부금, 보조금)은 4012억원, 내부거래(지방채, 보전수입 등)는 1750억원이었다.

 2020년 살림규모는 유사 지방자치단체 평균(1조 518억원)보다 2616억원 적고 공유재산 평균(1조 7293억원)보다 5183억원 많다. 

용산구 관계자는 “2019년 결산 기준보다 구 공유재산이 360억원이 증가했다”며 “용산구는 살림 규모는 유사 지자체보다 작지만 자체세입 비율이 양호하고 채무 없이 건전하게 재정을 운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2020회계연도 구 세출 총계는 6709억원이다. 2019회계연도보다 1544억원 늘었다. 주민 1인당 세출액도 256만원으로 전년도보다 58만원 증가했다. 최근 5년간 세출연평균 증가율은 39%로 세출결산액 중 가장 비율이 높은 분야는 사회복지, 세출증가율이 가장 높은 분야는 산업·중소기업 분야였다.

 2020회계연도 기금현황은 전년 대비 120억원 증가한 522억원이다.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재난관리기금, 일자리기금, 중소기업육성기금 등 규모가 커졌기 때문.

 구는 공통공시 외에도 보훈회관 건립 및 보훈사업 추진, 용문동 주민커뮤니센터 착공, 용산구 장애인커뮤니티센터 운영, 이봉창의사 역사울림관 건립 등현안사업 7건을 특수 공시했다.

 성장현 용산구청장은 “코로나19로 인한 재난 상황에서 구민들에게 많은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행사는 줄이고 지원은 늘리는 등 탄력적으로 재정을 운영했다”며 “구 살림살이를 더욱 키울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Reported by

김홍이/전청와대출입기자

강동희/문화기후환경기자

권오춘/사회복지부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강선우 장관 후보, 감성적이고 편리적으로 보좌관을 대했고, 세밀한 부분과 인권의 아쉬움? 강선우 후보의 인품과 실력에 대해 의심할 필요없다!
[강선우 의원은 비가오나 눈이오나 민주당에 최선을 다하고있다] 김홍이 기자=강선우 여성가족부 정관 후보자에 대해 한시민이 이 글을 올리기까지 생각이 많았다고한다. 나는 강선우 의원과 페친도 아니도 지인도 아니다. 이재명대표가 소위 수박이라고 칭하는 의원들로 인해서 힘들던 21대 국회에서 이 대표와 함께한 대변인이 강선우 의원이었기에 이재명 대표를 잘 대변했으면 했다. 대표가 단식할 때 대변인이기에 대표 옆에 있으며 보인 강 의원의 우울한 표정과 자세가 마치 대표의 단식을 보는 나의 마음 같았다. 2년 전 가을 강서 구청장 재보선이 중요한 선거였기에 나름 강서구에도 가고 강서구에 사는 분들에게 연락도 하였다. 그래서 선거를 응원하는 분들을 보았다. 생각보다 다소 인간관계를 쌓으려는 분들이 있음을 보았기에 걱정이 들었다. 그런데 간절하게 돕는 강선우의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작년 22대 강 의원이 재선이 되고 작년 여름 남대문에서 윤석열탄핵 집회가 있을 때 강선우 의원을 옆에서 본 적이 있었다. 강한 볕인데 모자도 안 쓰고 반듯한 자세로 끝가지 참여하는 모습을 보며 고맙다는 마음도 들었고 직관적으로 진정성이 느껴졌다. 그래서 페북에 민주진영 응원 포스팅에 강 의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세미갤러리, ‘2025 끌림전’ 개최, 예술로 이어진 14년의 이야기…
세미갤러리, ‘2025 끌림전’ 개최, 예술로 이어진 14년의 이야기… 세미갤러리가 주최하는 연례 전시회 ‘끌림전’이 2025년에도 이어진다. 2011년 중국 하얼빈 초청전시로 시작된 끌림전은 올해로 11회째를 맞는 장수전시행사로 동시대 미술의 다양성을 담아내며 지속적인 예술 교류의 장을 열어왔다. 끌림전 회원들사진 하얼빈에서 서울까지, ‘끌림’의 여정 ‘끌림전’은 그 이름처럼 예술이 사람을 끌어당기는 힘, 작가와 관람객 사이의 감정의 연결, 그리고 서로 다른 문화가 만나 만들어내는 교감을 주제로 삼는다. 첫 회인 2011년, 하얼빈에서의 전시를 기점으로 미술적 교류를 지향하며 시작된 본 전시는, 이후 매해 국내 다양한 작가들의 참여 속에 한국 현대미술의 정체성과 감수성을 녹여내 왔다. 참여작가들의 작품 7월17일(목) 세미갤러리에서 열리는 ‘2025 제11회 끌림전’은 전통적인 미술 매체뿐 아니라 디지털 아트, 설치, 퍼포먼스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이 함께한다. 참여 작가군은 신진작가부터 중견작가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스펙트럼을 형성해, 세대 간 예술적 해석의 차이와 그 속에서 피어나는 공감대를 조망한다. 홍대의작가의 퍼포먼스 세미갤러리는 단지 전시 공간을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