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보건복지위원회, 홀로 고독사 사망자 2017년 2천8명... 김원이 의원, 작년 OECD국가의 취약계층 쪽방 고시원 등 고독사 청년 장노년층 3천52명 52% 증가.. 경제적 빈부격차의 심각성 나타나!!

 

김원이 의원 (보건복지위원회 지역구 목포), 3년간 가족 등 연고자 없이 쓸쓸한 마지막을 맞은 '혼로 무연고 사망자'가 50% ~60% 육박 이상 늘어난 것으로 아려졌다.

이어 2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민주당 김원이 의원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국정보고서 자료에 따르면 홀로사는 사망자는 2017년 2천8명에서 지난해 3천52명으로 52% ~55% 육박했다.

연령대별로는 '40세 미만'의 청년 고독사가 63명에서 102명으로 62% 늘어났다.

노년층 고독사의 증가세도 계속됐다. 60∼64세의 고독사 증가율이 74.7%로 가장 높았고, 65∼69세(69.1%)와 70세 이상(64.6%)에서도 경제적 그리고 잠자리 불안증세로 고독사가 크게 늘었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고독사 사망자의 성별 현황(성별 미상자 제외)을 보면 남성(2천285명)이 여성(649명)의 3.5배였다고 따라서 남성이 여성보다 훨씬 많은 걸 조사됬다.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으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면 자살예방 핫라인 1577-0199, 자살예방 상담전화 1393,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Reported by

권오춘/국회출입사진기자

김홍이/뉴스탐사기자

강동희/문화기후환경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세미갤러리, ‘2025 끌림전’ 개최, 예술로 이어진 14년의 이야기…
세미갤러리, ‘2025 끌림전’ 개최, 예술로 이어진 14년의 이야기… 세미갤러리가 주최하는 연례 전시회 ‘끌림전’이 2025년에도 이어진다. 2011년 중국 하얼빈 초청전시로 시작된 끌림전은 올해로 11회째를 맞는 장수전시행사로 동시대 미술의 다양성을 담아내며 지속적인 예술 교류의 장을 열어왔다. 끌림전 회원들사진 하얼빈에서 서울까지, ‘끌림’의 여정 ‘끌림전’은 그 이름처럼 예술이 사람을 끌어당기는 힘, 작가와 관람객 사이의 감정의 연결, 그리고 서로 다른 문화가 만나 만들어내는 교감을 주제로 삼는다. 첫 회인 2011년, 하얼빈에서의 전시를 기점으로 미술적 교류를 지향하며 시작된 본 전시는, 이후 매해 국내 다양한 작가들의 참여 속에 한국 현대미술의 정체성과 감수성을 녹여내 왔다. 참여작가들의 작품 7월17일(목) 세미갤러리에서 열리는 ‘2025 제11회 끌림전’은 전통적인 미술 매체뿐 아니라 디지털 아트, 설치, 퍼포먼스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이 함께한다. 참여 작가군은 신진작가부터 중견작가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스펙트럼을 형성해, 세대 간 예술적 해석의 차이와 그 속에서 피어나는 공감대를 조망한다. 홍대의작가의 퍼포먼스 세미갤러리는 단지 전시 공간을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