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박현서 병원장, 일본 '후쿠시마 핵오염수 방류' 정말 위험 밝혀!!!

 

<일본 후쿠시마 원전 핵폐기물 저장소 전경>

 

박현서 현대아산병원장은 8월 24일 오후 1시에 일본의 도쿄전력에서는 후쿠시마 원자로의 핵 오염수를 방출했다고 말하며, 호주 뉴질랜드 등 태평양 도서 국가 17개국으로 이루어진 Pacific Lands Forum(PIF)에서는 자신들 국가 주변 해역과 해양 생태계의 방사능 오염 때문에 강력 반대하고 있지만 한국은 이러한 보도를 적극적으로 보도 하지않고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후쿠시마 핵 오염수에서 가장 인체에 위험한 물질은, 세슘-137(Cesium.영어로는 씨지엄 이라고 발음한다) 이라는 방사성 동위원소이먀, 반감기가 무려 37년으로 길어서, 사람 몸에 100g이 한번 들어가면 37년 지나야 50g 이 남고, 거기서 37년이 지나야, 25g 이 남고, 거기서 또 37년이 지나도, 그 절반인 12.5g 이 인체에 남아서 사람이 죽을 때까지 방사선이 방출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인체 내에서 한평생 방출되는 베타선은, 그 사람의 몸 구석구석을 지속해 파괴한다며 소신을 밝혔다.

따라서 특히 세포 내 DNA를 파괴하여 돌연변이, 세포파괴, 암 발생을 일으킨다.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어린이의 생식세포 내 DNA를 파괴하여 생식기능 저하, 그 후손의 기형발생을 일으킬 수 있다고 밝히며, 우리같이  60~70대 이상의 방사선 피폭은, 인류라는 종의 멸종을 일으키진 않지만, 영유아 어린이 청소년 가임기 여성의 방사선 피폭은, 생식세포 DNA를 파괴하여, 기형ㆍ불임 등 인류 멸종의 지름길이 되는 것이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세포분열이 활발한 젊은 사람의 생식세포는, 세포 분열이 거의 없다시피 한 50대 이상 사람의 체세포에 비해, 같은 양의 방사성 물질 피폭이 되어도, 수십~수만 배의 생식 세포손상을 일으키며, 그러함에도 한국 원자력학회나 일부 물리학자 공학자들은 해양 생태에 무지하거나, 인체에 대해 무지하거나, 혹은 양심을 저버리거나 해서, 후쿠시마 오염수가 바닷물에 희석되므로 문제가 없다고 하는데, 사람들이 먹는 것은 짠 바닷물이 아니라, 생선 등 <바다 생물>이기 때문이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따라서 세슘137,  아이오다인131 등 인체에 위험한 방사성물질은, 대개 무거우므로 연안의 바닥에 가라앉고, 거기에 사는 미세 해양생물은 새우같은 작은 생물의 먹이가 되어 농축되고, 또 새우등 작은 생물은 더 큰 어류의 먹이가 되어, 결국 정어리,연어, 명태, 문어, 오징어 같은 비교적 큰 해양생물 체내 내에 어마어마한 양의 방사성 세슘 등이,  그 생물이 죽을 때까지 평생 농축된다. 또 그걸 우리 아이들이 먹으면, 백혈병, 갑상생 암 등의 각종 암, 내분비질환, 생식기능 저하가 오게 된다고 위험성을 알리고 한숨을 내쉬었다.

또한 제발 오염수가 희석되니 안전하다는 무책임한 말은, 과학자로서 해선 안되는 것이다 라고 명심하길 바란다고 경고하기도했습니다.

 

 

 

 

 

 

Reported by

김홍이/전청와대출입기자(동시통역사)

손경락/법률경제전문기자(변호사)

권오춘/국회출입사진기자(환경전문가)

박현서/현대아산병원장(의사)


인터뷰컬럼

더보기
강선우 장관 후보, 감성적이고 편리적으로 보좌관을 대했고, 세밀한 부분과 인권의 아쉬움? 강선우 후보의 인품과 실력에 대해 의심할 필요없다!
[강선우 의원은 비가오나 눈이오나 민주당에 최선을 다하고있다] 김홍이 기자=강선우 여성가족부 정관 후보자에 대해 한시민이 이 글을 올리기까지 생각이 많았다고한다. 나는 강선우 의원과 페친도 아니도 지인도 아니다. 이재명대표가 소위 수박이라고 칭하는 의원들로 인해서 힘들던 21대 국회에서 이 대표와 함께한 대변인이 강선우 의원이었기에 이재명 대표를 잘 대변했으면 했다. 대표가 단식할 때 대변인이기에 대표 옆에 있으며 보인 강 의원의 우울한 표정과 자세가 마치 대표의 단식을 보는 나의 마음 같았다. 2년 전 가을 강서 구청장 재보선이 중요한 선거였기에 나름 강서구에도 가고 강서구에 사는 분들에게 연락도 하였다. 그래서 선거를 응원하는 분들을 보았다. 생각보다 다소 인간관계를 쌓으려는 분들이 있음을 보았기에 걱정이 들었다. 그런데 간절하게 돕는 강선우의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작년 22대 강 의원이 재선이 되고 작년 여름 남대문에서 윤석열탄핵 집회가 있을 때 강선우 의원을 옆에서 본 적이 있었다. 강한 볕인데 모자도 안 쓰고 반듯한 자세로 끝가지 참여하는 모습을 보며 고맙다는 마음도 들었고 직관적으로 진정성이 느껴졌다. 그래서 페북에 민주진영 응원 포스팅에 강 의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세미갤러리, ‘2025 끌림전’ 개최, 예술로 이어진 14년의 이야기…
세미갤러리, ‘2025 끌림전’ 개최, 예술로 이어진 14년의 이야기… 세미갤러리가 주최하는 연례 전시회 ‘끌림전’이 2025년에도 이어진다. 2011년 중국 하얼빈 초청전시로 시작된 끌림전은 올해로 11회째를 맞는 장수전시행사로 동시대 미술의 다양성을 담아내며 지속적인 예술 교류의 장을 열어왔다. 끌림전 회원들사진 하얼빈에서 서울까지, ‘끌림’의 여정 ‘끌림전’은 그 이름처럼 예술이 사람을 끌어당기는 힘, 작가와 관람객 사이의 감정의 연결, 그리고 서로 다른 문화가 만나 만들어내는 교감을 주제로 삼는다. 첫 회인 2011년, 하얼빈에서의 전시를 기점으로 미술적 교류를 지향하며 시작된 본 전시는, 이후 매해 국내 다양한 작가들의 참여 속에 한국 현대미술의 정체성과 감수성을 녹여내 왔다. 참여작가들의 작품 7월17일(목) 세미갤러리에서 열리는 ‘2025 제11회 끌림전’은 전통적인 미술 매체뿐 아니라 디지털 아트, 설치, 퍼포먼스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이 함께한다. 참여 작가군은 신진작가부터 중견작가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스펙트럼을 형성해, 세대 간 예술적 해석의 차이와 그 속에서 피어나는 공감대를 조망한다. 홍대의작가의 퍼포먼스 세미갤러리는 단지 전시 공간을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