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문화예술로 하나 된 무대, 제11회 끌림전, 30여 명의 작가들 참여 … 극단 ‘흥’, 창단 후 첫 연극 무대 선보인다.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 산하 극단'흥' 창단

문화예술로 하나 된 무대, 제11회 끌림전, 30여 명의 작가들 참여 …

극단 ‘흥’, 창단 후 첫 연극 무대 선보인다.

                                                                                                                  자료제공:세미협

2025년 7월 17일, 세미갤러리에서 열릴 ‘제11회 끌림전’에서는 국내외에서 활동하는 30여 명의

예술가들이 참여해 창작의 결실을 나눈다. 특히 올해는 미술과 연극의 만남이라는 새로운 시도를 통해 관람객들에게 더욱 풍성한 감동을 선사할 예정이다.

 

이번 끌림전에서는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 산하 문화사랑 극단‘흥’의 첫 무대 ‘아!나헤석’을 선보인다.. ‘극단 흥’은 예술과 삶을 잇는 진정성 있는 무대를 지향하며 연극 활동을 시작한 극단으로, 미술인과 예술인들이 힘을 모아 탄생시킨 단체다.

                                                                                            극단‘흥’포스터 자료제공:세미협

「아, 나혜석!」은 한국 최초의 여성 서양화가이자, 선각자적 사상으로 당대의 억압을 뚫고 나아간 나혜석의 삶을 조명한 작품이다

                                                                                안경희작가의 퍼포먼스 자료제공:세미협

‘끌림전’은 2011년 하얼빈 전시를 시작으로 2025년인 지금까지 매년 이어지고 있다.

한국과 세계 예술가들 간의 창작교류 목적을 시작으로 개최되어 왔다.

‘끌림’이라는 이름처럼 예술에 이끌리고, 사람에 이끌려 함께 만들어내는 이 전시는 회를 거듭할수록 다양한 형식과 깊이로 확장되고 있다.

올해 전시는 ‘예술로 이어진 삶의 이야기’를 주제로, 단순한 작품 전시를 넘어 공연과 낭독, 연주 여러 예술장르를 아우르는 복합문화예술제로서 그 면모를 과시 할 것이다..

예술을 향한 순수한 끌림이 만든 자리, 제11회 끌림전. 그 중심에서 태어난 극단 ‘흥’의 첫걸음은 단순한 무대 데뷔를 넘어, 예술이 삶을 변화시키고 사람과 사람을 잇는 힘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무대가 될 것이다.

제11회끌림전

일시: 2025년 7월 17일(목) 오후3시

장소: 세미갤러리

주최: (사)세계문화교류협회기획/제작: 문화사랑극단 ‘흥’출연: 여운미, 남희주, 김자숙, 김재학, 신정수, 김대진협력: 예술마을그리다(박찬빈감독),소단샘(김명호단장),동대문연극협회(온성균회장)후원:(사)한국재능기부,한국사진방송,인터뷰뉴스TV,한국아트네트워크,코리아뉴스,씨원뉴스,소식통TV

문의: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 사무국 02)749-6656


인터뷰컬럼

더보기
천주교 정의구현사제단, 7월 7일 李 政部의 정성호 법무장관 후보의 검찰개혁, 이대로 괜찮은가??
[더불어민주당 김용민ㆍ민형배 의원 등 강력한 검찰개혁 서명서 발표 포토] 김홍이/이상철 기자=천주교 정의구현사제단의 성명서 7월 7일 정치는 낙관의 예술이다. 특히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어떤 암운 속에서도 희망의 불씨를 지켜온 우리 국민에겐 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희망은 맹신과 다르다. 희망은 더 나은 내일을 위해 오늘의 현실을 냉정하게 직시할 때 더욱 단단해진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 조심스레 ‘정성호 법무장관의 검찰개혁 구상’에 대해 깊은 우려와 건설적 견제를 함께 나눠야 한다. 정성호 장관은 서울법대 출신이다, 검사 출신은 아니나 검찰 조직과 학연·직연으로 엮인 사람이다. 그가 국회에서 언급한 “검찰개혁은 여야 합의로” “헌법상 검찰총장은 존재해야 한다”는 발언은 얼핏 중도적 균형감각처럼 보이지만, 실은 검찰의 구조적 권한 분산보다는 유지 내지 재편으로 들린다. 그가 제시한 ‘기소검찰청’과 ‘중대범죄수사검찰청’의 이원화 구상은 민주당이 일관되게 추진해온 ‘수사와 기소의 완전 분리’ 원칙을 흐리는 위험한 설계다. 결국 기존 검찰 권한의 분산이 아닌, 권력의 ‘복수화’에 그칠 공산이 크다. 기소 검찰총장 공소 검찰총장을 만들어 오히려 혹을 하나 더 븥이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천주교정의평화연대, 7월 11일 "백해룡 경정" 이제 '국민이 지켜야 하는 이유'... "진실을 말한 자가 고립되는 사회, 대한민국!"
[전 영등포경찰서 백해룡 경정 마약수사 과장] 이상철 김홍이 기자= 천주교정의평화연대 7월 10일 지난 백해룡 경정(전 영등포경찰서 마약 수사과장)은 인천공항에서 벌어진 국제 마약 밀반입 수사에서, 검찰이 세관 직원 연루 정황을 축소·은폐하는 과정에 문제를 제기했다. "용산에서 심각하게 본다"는 말 한 마디에 수사는 중단되었고, 압수수색 영장은 검찰로부터 번번이 기각되었다. 그는 수사 책임자로서 “이건 아니다”라고 외쳤다. 그는, 조직에게는 '불온'이 되었고, 권력에게는 '위험'이 되었다. 그리고 백해룡 경정은 마약범죄 수사에서 배제되었고, 복귀도 허락되지 않은 채 현재까지 현장을 떠나 있다. <왼쪽에서 두 번째 박정훈 대령, 특검의 항고포기로 무죄확정에 박 대령은 해병대 수사단장으로 복귀한다> -박정훈 대령 특검의 항고포기- 박정훈 대령은 돌아왔지만, 백해룡 경정은 아직 떠나 있다. 이제 백해룡 경정의 복귀를 위해 싸워야 한다. 박정훈 대령은 해병전우회가 함께 싸웠다. 그러나 경찰들의 모임에서는 누구도 그를 편들지 않는다. 한국은 “진실을 말한 자가 고립되는 구조”행태 이 시대는 역설적이다. 부패에 침묵한 자는 출세하고, 정의에 충성한 이는 고립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세미갤러리, ‘2025 끌림전’ 개최, 예술로 이어진 14년의 이야기…
세미갤러리, ‘2025 끌림전’ 개최, 예술로 이어진 14년의 이야기… 세미갤러리가 주최하는 연례 전시회 ‘끌림전’이 2025년에도 이어진다. 2011년 중국 하얼빈 초청전시로 시작된 끌림전은 올해로 11회째를 맞는 장수전시행사로 동시대 미술의 다양성을 담아내며 지속적인 예술 교류의 장을 열어왔다. 끌림전 회원들사진 하얼빈에서 서울까지, ‘끌림’의 여정 ‘끌림전’은 그 이름처럼 예술이 사람을 끌어당기는 힘, 작가와 관람객 사이의 감정의 연결, 그리고 서로 다른 문화가 만나 만들어내는 교감을 주제로 삼는다. 첫 회인 2011년, 하얼빈에서의 전시를 기점으로 미술적 교류를 지향하며 시작된 본 전시는, 이후 매해 국내 다양한 작가들의 참여 속에 한국 현대미술의 정체성과 감수성을 녹여내 왔다. 참여작가들의 작품 7월17일(목) 세미갤러리에서 열리는 ‘2025 제11회 끌림전’은 전통적인 미술 매체뿐 아니라 디지털 아트, 설치, 퍼포먼스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이 함께한다. 참여 작가군은 신진작가부터 중견작가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스펙트럼을 형성해, 세대 간 예술적 해석의 차이와 그 속에서 피어나는 공감대를 조망한다. 홍대의작가의 퍼포먼스 세미갤러리는 단지 전시 공간을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