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제약업체, 신선한 문화마케팅으로 돌파구 찾다

리베이트 등 제약마케팅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 타파 효과 기대

 

(서울=뉴스와이어) 2012년 04월 03일 -- 최근 뮤지컬, 연극, 뷰티샵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화활동을 접목한 문화예술 마케팅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이 크게 늘고 있다. 기존 경품이나 사은품을 제공하는 일회성 이벤트에서 벗어나 예술 공연 후원 등 다양한 문화마케팅을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런 활동들은 기업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메이킹 하는데도 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대중들에게 문화소비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좋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문화마케팅 바람은 요즘 한미 FTA, 약가 인하 등으로 인해 힘든 제약업계에도 불고 있다. 그동안 제약마케팅에 대한 이미지가 ‘리베이트’ 등으로 부정적인 시선이 있는 건 사실이다. 이에 한 제약업체에서 제약마케팅에 대한 부정적인 편견과 이미지를 타파하고 산업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문화마케팅 전략을 내세워 화제다.

 

태극제약 주식회사(대표 이창구)는 최근 뮤지컬 ‘노인과 바다’, 청담동 뷰티샵 ‘작은차이’ 등과 제휴를 맺고 문화 후원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이번 캠페인은 태극제약의 제품구입 여부와는 상관없이 수도권 내 거래 약국을 방문하는 모든 고객들에게 뮤지컬과 뷰티샵 최저가 VIP 할인쿠폰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이목을 끈다. 뮤지컬 ‘노인과 바다’의 경우 50% 할인된 가격에 공연관람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유명 연예인들의 단골샵인 청담 ‘작은차이’에서는 헤어컷을 15,000원에 받아 볼 수 있는 등 소비자들에게 실질적이고 다양한 문화 예술아이템을 제공한다.

 

이에 대해 태극제약 관계자는 대표 제품인 기미 검버섯 치료제 ‘도미나 크림’이 30년 넘게 고객들에게 사랑받아 온 만큼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기획되었다’며 ‘정기적으로 다양한 문화 아이템을 가지고 보다 많은 소비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후원 활동을 펼칠 예정’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출처: 태극제약


인터뷰컬럼

더보기
[칼럼] 정 토 작가의 강릉의 물부족 자연재해 아닌 "인재"일 수밖에 없는 이유!!!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강릉시 전역에 가뭄으로 힘든 물부족사태를 현정지휘 점검하고있다. 강원도민일보 사진] 김홍이/손병걸 기자= 정토 작가는 31일 어떻게 공교롭게도 20년이상을 동해안(강릉-양양-속초)에서 살다보니 이사부장군과 지역현안을 연구하고, 강릉-양양에서 총선과 국립대 총장,양양군수 선거에서 공약을 만들다 보니 다양한 문제에 접근한 바 있다고 아래와 같이 밝혔다. 그 중 강릉의 남대천과 오봉댐, 상류의 도암댐과 관련 전략적으로 개입한 적 있는데, 남대천은 지금의 일직선화 된 것이 93년 밖에 되지않은 일본인군수 농택성이 자연형 옛 남대천을 매립하고 직선으로 물이 바다로 쉽게 빠지게 개량한 인공하천이라는 것이고, 오봉댐은 주변 산림을 뜯어버려 저장된 물을 흡수하기 힘는 단순냉장고의 형태라는 것이며, 상류의 도암댐은 필자가 예전 남대천살리기시민모임의 의뢰와 한수원의 후원으로 도암댐을 직접 촬영한 결과 흐르지않는 강물을 담수한 그야말로 관련지자체의 이해가 얽힌 정체된 담수라는 것이다. 이는 지역 위정자가 조금만 지역역사를 이해하면 왜? 지금의 남대천이 1932년까지 존재했던 옛남대천(강문-초당-경포-옥천 방향)처럼 천 년이상을 물이 머물며 경포호와 공존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2025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에서 주최하는 '제13회 아트챌린저'가 공모를 시작했다.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작가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재능일까, 인내일까, 아니면 무대를 만나는 운일까. 2025년, 작가들에게 ‘그 무대’가 열린다. ‘2025 아트챌린저 공모전’은 단순한 예술 경연을 넘어, 예술가가 사회와 소통하고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현실적 도약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3년의 축적, 예술의 내일을 향해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회장,여운미)가 주최하는 ‘아트챌린저 공모전시’는 올해로 13회째를 맞는다. 그동안 수많은 작가들이 이 무대를 통해 전시의 두려움을 이겨냈고, 콜렉터와의 만남을 경험했으며, 다음 기회를 향한 발판을 마련해왔다. 예술계에서 이 공모전시는 예술 생태계를 건강하게 확장시키는 의미 있은 전시 무대이다. 참가 장르는 서양화, 동양화는 물론, 평면, 입체, 디자인, 디지털아트 등 최근 주목받는 AI 기반 창작물까지 포괄하며,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예술적 다양성을 수용하고 있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는 개방성도 또 하나의 강점이다. 경력이나 연령에 제한이 없고, 오직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