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교류 27주년 기념 공연으로 예술인이 하나되다

2019 년 7월 31일 19시 
중국 청도 교주시 시민문화광장에서 
한중문화 교류공연 예술인 의 축제가 화려하게 열렸다
한국과 중국의 문화교류로서
한중문화체육교류협회를 이끄는 박남호 단장이 
27년 동안 추진해온 행사이다

한국과 중국의 예술인들이 함께 참여하는 행사로
청도 교주시 시민광장을 가득 메운 가운데 유명한 가수와 예술인들의
화려한 공연이 펼쳐졌다

이번 행사는 특별한 순서로 처음시도 되는 축시낭송이 있었다

낭송은 한국에서 유명세를 타고 있는
시낭송가 이강철 서수옥님이 초대되어
김소월 시 진달래꽃 산유화
윤동주 시 별 헤는 밤을 퍼포먼스로 낭송으로
교주시 부시장을 비롯 시민들에게 큰 사랑을 받았다

위 행사는 중국교주시 예총 문화예술체육과와 
거젠 대표님이 책임지고 기획한 공연이기도 하다

중국의 무장양가 배우들과도 함께 어우러진 이번무대는 
교주시민들이 무더운 날씨에도 자리를 가득 메워 이번공연으로 한ㆍ 중의문화교류의 희망을 보이기도했다

일본 KJ인터네셔널 프로듀서는
이번공연을보고 일본에서도 이런 교류 행사를 진행하고 싶다며 청도 교주문화체육관광부 와 Mou를 체결하고 내년 일본공연을 기획하기로 했다
한국의 전통을 알리고 
김소월ㆍ윤동주의시로 중국동포의 가슴에 별하나를 새기며 내년에도 또 만나자는 문화원장님의 만찬을 머무는 내내 극진한 대접을 받았으며
한국에서도 교류 공연으로 이어질 예정이며 청도관광과 중국 경도 단원들의 멋진 공연으로 그 여정을 마무리했다


주체ㆍ 교주시 문화원
주관ㆍ교주시문화관 무장양가예술단
청도화예국제문화교류공사

 

김학민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칼럼] 정 토 작가의 강릉의 물부족 자연재해 아닌 "인재"일 수밖에 없는 이유!!!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강릉시 전역에 가뭄으로 힘든 물부족사태를 현정지휘 점검하고있다. 강원도민일보 사진] 김홍이/손병걸 기자= 정토 작가는 31일 어떻게 공교롭게도 20년이상을 동해안(강릉-양양-속초)에서 살다보니 이사부장군과 지역현안을 연구하고, 강릉-양양에서 총선과 국립대 총장,양양군수 선거에서 공약을 만들다 보니 다양한 문제에 접근한 바 있다고 아래와 같이 밝혔다. 그 중 강릉의 남대천과 오봉댐, 상류의 도암댐과 관련 전략적으로 개입한 적 있는데, 남대천은 지금의 일직선화 된 것이 93년 밖에 되지않은 일본인군수 농택성이 자연형 옛 남대천을 매립하고 직선으로 물이 바다로 쉽게 빠지게 개량한 인공하천이라는 것이고, 오봉댐은 주변 산림을 뜯어버려 저장된 물을 흡수하기 힘는 단순냉장고의 형태라는 것이며, 상류의 도암댐은 필자가 예전 남대천살리기시민모임의 의뢰와 한수원의 후원으로 도암댐을 직접 촬영한 결과 흐르지않는 강물을 담수한 그야말로 관련지자체의 이해가 얽힌 정체된 담수라는 것이다. 이는 지역 위정자가 조금만 지역역사를 이해하면 왜? 지금의 남대천이 1932년까지 존재했던 옛남대천(강문-초당-경포-옥천 방향)처럼 천 년이상을 물이 머물며 경포호와 공존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한류 인기몰이 '케데헌' 속 더피와 수지 '호작도' 최초 공개
한류 인기몰이 '케데헌' 속 더피와 수지 '호작도' 최초 공개 한류 인기몰이의 중심이 된 케이팝 데몬 헌터스 속 더피와 수지 '호작도' 가 리움미술관에서 최초 공개 되었다. 연령 상관없이 세계적으로 열광 중인 '케이팝데몬헌터스'가 인기를 끌면서 한국의 전통 회화 장르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피카소 호랑이’는 19세기에 제작된 호작도 중 하나로, 단순하고 추상적인 선, 노란 호피 문양, 해학적인 표정 등이 특징이에. 이 표현이 피카소의 화풍을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피카소호랑이'라는 별명이 붙게 되었다. 또, 1988년 서울올림픽 마스코트 ‘호돌이’의 시각적 원천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대 한국 디자인사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서울 한남동 리움미술관에서 열리는 전시에서는 총 7점의 주요 작품이 공개된다 까치호랑이 虎鵲’展이라는 제목으로 열리는 이번 기획전은 조선 시대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민화의 대표 주제인 ‘호작도(虎鵲圖)’를 집중 조명한다. 여기에 더해 1874년 신재현이 그린 호작도, 그리고 단원 김홍도의 ‘송하맹호도’ 등도 함께 전시돼, 다양한 시대와 화풍 속에서 호랑이와 까치가 어떻게 해석되어 왔는지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전시는 오는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