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2028 올림픽 종목 선정 목표 세계프리스타일 총재 우희용

축구공 하나로 세계를 제패한
세계 프리스타일 축구 연맹 총재 우희용

2028년 올림픽 종목선정 목표!!

축구공 하나로 세계를 재패한

세계프리스타일축구연맹 총재 “우희용”

2022년 5월, 종주국 한국에서 또 세계대회 열려...호나우지뉴 참석

청소년기에 운동에 매진하다 부상을 당하면 대개 포기하고 만다. 하지만 그의 축구 사랑은 부상으로 막을 수 없었다. 오히려 위기를 기회로 전환해 프리스타일 축구에 열정을 담았다.

축구를 포기하게 했던 부상은 경기 중이 아니라 ‘유난히 운이 없던’ 축구선수 생활 중에 발생했다. 

축구부에 들어가기 위해 서울로 전학 왔으나 1년 만에 축구부가 해체되고, 호적상 1살이 많아 다른 사람의 이름으로 경기를 뛰는 등 운이 따라주지 않았다.

결국 혼자서 훈련을 해야 했고 피로골절 누적으로 인해 성장뼈 손상으로 운동을 그만둬야 했다.

하지만 그는 공을 놓지 않았다. 1989년 축구 헤딩부문 기네스북등재(5시간 6분 30초)로 세상에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으며 각종 월드컵에서 초청공연을 하고 있다.

세계프리스타일 축구연맹총재(우희용)는 2004년 프리스타일 축구 세계대회(런던), 2012년 이태리에 이어 2019년 6월 한국에서 프리스타일 축구 세계대회를 개최하였다.

현재 200여 개국의 놀이로 자리 잡은 프리스타일 축구가 스포츠계의 한 분야로 자리매김하기까지 그가 흘린 땀과 열정은 우희용 총재를 세계적인 묘기 축구의 대가라고 칭송하기에 충분하다.

우희용 총재는 “프리스타일이 올림픽의 정식종목으로 채택될 수 있도록 끝까지 길을 이어갈 것이다”며 포부를 밝혔다. 한편, 최근 올림픽정식종목 채택에 대한 긍정적인 바람이 불고 있다.

2022년 5월 종주국인 한국에서 세계대회가 개최되며, 프리스타일 축구의 이름을 알릴 수 있도록 도와준 호나우지뉴가 초청될 예정이다

 

축구 묘기 아티스트' 우희용씨가 잉글랜드 프로축구 프리미어리그팀 풀햄 FC의 홍보대사로 선정됐다.

프리스타일 축구는 현재 공연, TV광고·방송, 온라인 게임, 축구 교육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돼 발전 중이다. 

우총재는 최근 풀햄 구단의 '공식 홍보대사(FFC Community Ambassador)'가 됐다는 레터를 받았다.

이 계약에 따라 다음달 7일 풀햄과 미들즈버러의 경기부터 킥 오프 직전과 하프타임에 현지 팬들에게 축구 묘기를 선보이게 된다.

김학민기자

김홍이기자

조  설  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강선우 장관 후보, 감성적이고 편리적으로 보좌관을 대했고, 세밀한 부분과 인권의 아쉬움? 강선우 후보의 인품과 실력에 대해 의심할 필요없다!
[강선우 의원은 비가오나 눈이오나 민주당에 최선을 다하고있다] 김홍이 기자=강선우 여성가족부 정관 후보자에 대해 한시민이 이 글을 올리기까지 생각이 많았다고한다. 나는 강선우 의원과 페친도 아니도 지인도 아니다. 이재명대표가 소위 수박이라고 칭하는 의원들로 인해서 힘들던 21대 국회에서 이 대표와 함께한 대변인이 강선우 의원이었기에 이재명 대표를 잘 대변했으면 했다. 대표가 단식할 때 대변인이기에 대표 옆에 있으며 보인 강 의원의 우울한 표정과 자세가 마치 대표의 단식을 보는 나의 마음 같았다. 2년 전 가을 강서 구청장 재보선이 중요한 선거였기에 나름 강서구에도 가고 강서구에 사는 분들에게 연락도 하였다. 그래서 선거를 응원하는 분들을 보았다. 생각보다 다소 인간관계를 쌓으려는 분들이 있음을 보았기에 걱정이 들었다. 그런데 간절하게 돕는 강선우의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작년 22대 강 의원이 재선이 되고 작년 여름 남대문에서 윤석열탄핵 집회가 있을 때 강선우 의원을 옆에서 본 적이 있었다. 강한 볕인데 모자도 안 쓰고 반듯한 자세로 끝가지 참여하는 모습을 보며 고맙다는 마음도 들었고 직관적으로 진정성이 느껴졌다. 그래서 페북에 민주진영 응원 포스팅에 강 의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세미갤러리, ‘2025 끌림전’ 개최, 예술로 이어진 14년의 이야기…
세미갤러리, ‘2025 끌림전’ 개최, 예술로 이어진 14년의 이야기… 세미갤러리가 주최하는 연례 전시회 ‘끌림전’이 2025년에도 이어진다. 2011년 중국 하얼빈 초청전시로 시작된 끌림전은 올해로 11회째를 맞는 장수전시행사로 동시대 미술의 다양성을 담아내며 지속적인 예술 교류의 장을 열어왔다. 끌림전 회원들사진 하얼빈에서 서울까지, ‘끌림’의 여정 ‘끌림전’은 그 이름처럼 예술이 사람을 끌어당기는 힘, 작가와 관람객 사이의 감정의 연결, 그리고 서로 다른 문화가 만나 만들어내는 교감을 주제로 삼는다. 첫 회인 2011년, 하얼빈에서의 전시를 기점으로 미술적 교류를 지향하며 시작된 본 전시는, 이후 매해 국내 다양한 작가들의 참여 속에 한국 현대미술의 정체성과 감수성을 녹여내 왔다. 참여작가들의 작품 7월17일(목) 세미갤러리에서 열리는 ‘2025 제11회 끌림전’은 전통적인 미술 매체뿐 아니라 디지털 아트, 설치, 퍼포먼스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이 함께한다. 참여 작가군은 신진작가부터 중견작가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스펙트럼을 형성해, 세대 간 예술적 해석의 차이와 그 속에서 피어나는 공감대를 조망한다. 홍대의작가의 퍼포먼스 세미갤러리는 단지 전시 공간을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