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문화축제여행

장두이 배우 데뷔 50주년 공연 '미스터리 댄싱 츄츄'

장두이 배우 데뷔 50주년을 맞아 열리는 이 공연은 직접 작·연출·출연하고 제자들과 후배들이 무대에 함께 오른다

‘미스터리 댄싱츄츄’는 코로나 팬데믹에 의해 커뮤니티와 커뮤니케이션을 잃어가는 사회 모습에 대한 ‘풍자연극’으로, 소통하는 인간애게 삶의 의미를 되찾고자 하는 소망을 담은 이야기다


‘마지막 독백’은 일인극으로, 69세의 생일을 맞아 그에게 펼쳐질 미래의 삶의 예시를 주제로 한 작품이다. 공연 마지막날 단 1회차만 진행된다.


-"장두이” 와 비밀기지의 공동기획
2021년 “장두이 배우 50주년 기념 공연” 이 열린다


연출 / 각색 / 작 : 장두이
기획 : 장두이레파토리 극단 윤경실, 극단 비밀기지
출연 : 김영 , 임선영 , 김태윤 , 문재현 , 김예지 , 변여울 , 서영진 , 김수빈 , 박성민 , 최진우
그리고 장두이

“미스터리 댄싱츄츄”
공연기간 : 6월 2일 (수요일) - 6월 5일 (토요일)
평일 : 8:30pm
토요일 : 4:30pm / 8:30pm

“마지막 독백”
공연기간 : 6월 6일 (일요일)
일요일 : 7:00 pm
(@드림시어터)

인터파크 : https://mobileticket.interpark.com/Goods/GoodsInfo/info?GoodsCode=21003951&is1=ticket&is2=product
 

"가수윤복희가  본 장두이 "

장두이를 만나게 된 건 80년대 뉴욕에서였다. 그가 거주했던 맨하탄 50번가.  긴 머리를 질끈. 번뜩이는 눈망울.  한복에 카우보이 조끼를 걸친 영락없는 Korean-American.  무한정 떠도는 노마드 아티스트.  난 그의 넘쳐나는 열정의 에너지가 맘에 들었다. 왜 세계적인 연출가 피터 브룩, 그로토프스키 등이 그를 좋아했는 지 느껴 알았다.

그는 먹이를 좇는 예리한 본능의 하이에나 같았다. 1994년 난 극단 자유에서 제작했던 창작뮤지컬 "바람,  타오르는 불길"에 그를 서슴없이 초대를 했고, 그렇게 그는 한국으로 유턴했다. 귀국 후, 그는 연극음악작곡가 신수정과 결혼하여 안정적으로 정착했고, 이제껏 국내외 370여 편이 넘는 많은 공연 작품에서 특유의 연기 불꽃을 대중에게 선사해왔다.

극기의 50년 연극 인생. "인생이 연극이었고, 연극이 그의 인생"이었다.  이번 공연을 필두로 다시 더 60주년, 70주년 연기 인생을 기대해 본다. 우리 연극계에서 가장 많은 8번의 일인극을 공연한 그가 향후 70주년 기념 공연엔 "오! 이제 마지막 독백"으로 인생을 축약한 멋진 연극의 나래를 펼치기 기대해본다.

 

김학민기자

김홍이기자

조    설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세미갤러리, ‘2025 끌림전’ 개최, 예술로 이어진 14년의 이야기…
세미갤러리, ‘2025 끌림전’ 개최, 예술로 이어진 14년의 이야기… 세미갤러리가 주최하는 연례 전시회 ‘끌림전’이 2025년에도 이어진다. 2011년 중국 하얼빈 초청전시로 시작된 끌림전은 올해로 11회째를 맞는 장수전시행사로 동시대 미술의 다양성을 담아내며 지속적인 예술 교류의 장을 열어왔다. 끌림전 회원들사진 하얼빈에서 서울까지, ‘끌림’의 여정 ‘끌림전’은 그 이름처럼 예술이 사람을 끌어당기는 힘, 작가와 관람객 사이의 감정의 연결, 그리고 서로 다른 문화가 만나 만들어내는 교감을 주제로 삼는다. 첫 회인 2011년, 하얼빈에서의 전시를 기점으로 미술적 교류를 지향하며 시작된 본 전시는, 이후 매해 국내 다양한 작가들의 참여 속에 한국 현대미술의 정체성과 감수성을 녹여내 왔다. 참여작가들의 작품 7월17일(목) 세미갤러리에서 열리는 ‘2025 제11회 끌림전’은 전통적인 미술 매체뿐 아니라 디지털 아트, 설치, 퍼포먼스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이 함께한다. 참여 작가군은 신진작가부터 중견작가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스펙트럼을 형성해, 세대 간 예술적 해석의 차이와 그 속에서 피어나는 공감대를 조망한다. 홍대의작가의 퍼포먼스 세미갤러리는 단지 전시 공간을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