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한국, 문재인 대통령의 40%대 지지율 깨지지 않는 이유 무엇일까? / The reason why President Moon's approval rating is high

It was written in Korean & English at the same time. Therefore, English-speaking foreigners also signed up for English-speaking articles to deliver news about the Korean president.

<President Moon Jae-in of Republic of Korea>

 

It was written in Korean and English at the same time.  Therefore, English-speaking foreigners also signed up for English-speaking articles to deliver news about the Korean president.

 

문재인 대통령의 견고한 지지율은 한국 사회의 이념 지형의 변화 때문으로 보인다. 한국 사회의 정치 이념이나 성향이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사태로 중도와 진보 쪽으로 어느 정도 이동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민주화 운동을 경험한 40세대 50세대들이 이 세력의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문재인 대통령은 2011년 정계에 입문해 2012년 대선, 2016년 총선, 2017년 대선을 거쳐 청와대에 입성했다. 그동안 문 대통령은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역임해 당 혁신 작업을 했고, 대선 후보로 두 번이나 나섰다. 즉 8년이 넘는 기간 동안 민주당 지지층과의 일체감이 굳건해진 탓에 대통령의 지지율도 일정 수치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 지지층은 검찰개혁 논란 등 일시적인 이슈로는 탈당이나 이탈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여권에서는 문 대통령의 국정지지율이 최저치에 근접한 현재 상황에 대해 ‘검찰 난이 생각보다 길어져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를 출범해 검찰개혁 논란이 종료되고, 예산안과 각종 개혁입법이 통과되는 등 과제를 해결하는 모습을 보이면 일시적인 지지율 하락에서 벗어날 것으로 보고있다. 

 

<Republic of Korean President Moon Jae-in is presiding over a meeting of senior secretaries at the Blue House>

 

President Moon Jae-in's strong approval rating seems to be due to changes in the ideological landscape of Korean society. It is analyzed that the political ideology & inclination of Korean society have shifted to some degree toward moderate & progressive due to the impeachment of former President Park Geun-hye. In particular, people in their 40s & 50s who have experienced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are the majority of this force.

In addition, President Moon Jae-in entered politics in 2011 and entered the Blue House through the 2012 presidential election, the 2016 general election, and the 2017 presidential election. During that time, President Moon Jae-in served as the leader of the(Democratic) Party, innovating the party, and running twice as a presidential candidate.  In other words, it is interpreted that the approval rating of the president doesn't fall below a certain level because the sense of unity with the Democratic Party supporters has been strengthened for more than eight years. It seems that this support group is not leaving due to temporary issues such as the controversy over prosecutorial reform.

For this reason, the passport considers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President Moon's approval rating for state government is nearing the lowest level, as 'the probation took longer than expected & had an effect'.  Accordingly, it's expected that the public prosecution office will be launched & the controversy over prosecutorial reform will end, and the budget bill & various reform legislations will be passed and the problems will be solved, and the temporary drop in approval rating will be relieved.

 

 

Thank you for reading & watching folks

 

 

 

Reported by

Alexander Utt. : 초빙외신기자

김홍이/뉴스탐사기자

김학민/국회출입사진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칼럼] 정 토 작가의 강릉의 물부족 자연재해 아닌 "인재"일 수밖에 없는 이유!!!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강릉시 전역에 가뭄으로 힘든 물부족사태를 현정지휘 점검하고있다. 강원도민일보 사진] 김홍이/손병걸 기자= 정토 작가는 31일 어떻게 공교롭게도 20년이상을 동해안(강릉-양양-속초)에서 살다보니 이사부장군과 지역현안을 연구하고, 강릉-양양에서 총선과 국립대 총장,양양군수 선거에서 공약을 만들다 보니 다양한 문제에 접근한 바 있다고 아래와 같이 밝혔다. 그 중 강릉의 남대천과 오봉댐, 상류의 도암댐과 관련 전략적으로 개입한 적 있는데, 남대천은 지금의 일직선화 된 것이 93년 밖에 되지않은 일본인군수 농택성이 자연형 옛 남대천을 매립하고 직선으로 물이 바다로 쉽게 빠지게 개량한 인공하천이라는 것이고, 오봉댐은 주변 산림을 뜯어버려 저장된 물을 흡수하기 힘는 단순냉장고의 형태라는 것이며, 상류의 도암댐은 필자가 예전 남대천살리기시민모임의 의뢰와 한수원의 후원으로 도암댐을 직접 촬영한 결과 흐르지않는 강물을 담수한 그야말로 관련지자체의 이해가 얽힌 정체된 담수라는 것이다. 이는 지역 위정자가 조금만 지역역사를 이해하면 왜? 지금의 남대천이 1932년까지 존재했던 옛남대천(강문-초당-경포-옥천 방향)처럼 천 년이상을 물이 머물며 경포호와 공존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2025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에서 주최하는 '제13회 아트챌린저'가 공모를 시작했다.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작가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재능일까, 인내일까, 아니면 무대를 만나는 운일까. 2025년, 작가들에게 ‘그 무대’가 열린다. ‘2025 아트챌린저 공모전’은 단순한 예술 경연을 넘어, 예술가가 사회와 소통하고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현실적 도약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3년의 축적, 예술의 내일을 향해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회장,여운미)가 주최하는 ‘아트챌린저 공모전시’는 올해로 13회째를 맞는다. 그동안 수많은 작가들이 이 무대를 통해 전시의 두려움을 이겨냈고, 콜렉터와의 만남을 경험했으며, 다음 기회를 향한 발판을 마련해왔다. 예술계에서 이 공모전시는 예술 생태계를 건강하게 확장시키는 의미 있은 전시 무대이다. 참가 장르는 서양화, 동양화는 물론, 평면, 입체, 디자인, 디지털아트 등 최근 주목받는 AI 기반 창작물까지 포괄하며,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예술적 다양성을 수용하고 있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는 개방성도 또 하나의 강점이다. 경력이나 연령에 제한이 없고, 오직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