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컬럼

英 파이낸셜타임스, South Korea 제 20대 대통령 후보... "FT, 김동연 대선후보 한국의 개혁적인 국가지도자"로 평가 밝혀!!!

-FT, 김동연·윤석열·이재명 대선 후보에 대한 엇갈린 평가
-FT, 김동연은 마크롱, 이재명은 버니 샌더스, 윤석열은?
-FT, "김동연, 이재명 기본소득보다 더 근본적인 제도 변화 정책 제안”  

<김동연 대선 후보 ✔ 조용한 혁명 시대를  ✔ 소개하고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inancial Times, FT)는 지난 12일에 김동연 예비후보의 정책을 비중 있게 소개하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예비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예비후보와 함께 비교분석했다.

FT는 이재명 후보가 내세우는 보편적 기본소득을 소개하며 버니 샌더스 미국 민주당 상원의원에 비유하면서 우려를 내비쳤다. FT는 "이 후보의 기본소득 정책은 연간 100만원(840달러)에서 매월 50만원(420달러)까지 증가시키는 것”이라 설명하면서 “이 정책에 대해 비평가들은 실용적이지 못하고, 실제로 감당하기 어려운 것으로 평가한다”고 말했다.

FT는 윤석열 후보를 평가하며 그가 “반값 주택 50만호를 내걸어 젊은 유권자를 끌어들이려 한다는 것”에 대해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사례로 들어 비판적 평가를 했다. FT는 “2017년 문재인 대통령 집권 이후 집값 상승을 막으려 20개 이상의 정책을 시행했지만, 오히려 아파트 가격이 두 배 가까이 뛰었다”며 “서울 평균 아파트 가격이 12억 원(100만 달러)에 이르게 만들었고, 많은 중산층이 부동산 시장에서 낙오되었다”며 문 정부의 부동산 정책과 차별점이 없는 한국의 보수 진영을 지적했다.

김동연 후보는 개혁적인 지도자로 평가했다. FT는 “법체계를 뒤집고 싶어 한다”며 “프랑스 대통령 에마뉘엘 마크롱을 닮았다”고 설명하면서 “이재명 후보의 기본소득 정책보다 더 심도 있고 근본적인 제도 변화를 희망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서 김 후보의 혁신성장 정책을 조명하면서 “‘기존 법으로 되는 것을 정해놓은 방식’에서 벗어나 ‘다른 선진국처럼 안 되는 것만 규정하고 나머지는 허용하는 식’으로 제도를 바꿔야 혁신을 촉진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뿐만 아니라 FT는 “쓰레기통에서 고시잡지를 우연히 발견한 것을 계기로 관료가 돼 지독한 가난에서 스스로 이겨낸” 김 후보의 인생스토리도 소개했다. 덧붙여 김 후보가 “관료로 성공한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관료주의와 ‘공무원 철밥통’을 깨려는 사람”으로 묘사했다.

글로벌 경제지 FT에서 4차 산업 혁명 시대를 잘 대비할 수 있는 한국의 미래지도자에 대해 비교분석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고 밝혔습니다.

 


■ 영국 파이낸셜타임스 원문

South Korea's 'Bernie Sanders' touts universal basic income ahead of polls

Leading presidential candidates embrace radical economic shifts to tackle growing inequality

Presidential candidates have sharpened their focus on property prices, a symbol of South Korea's economic polarisation

We'll send you a myFT Daily Digest email rounding up the latest South Korea Politics &Policy news every morning.

 


A universal basic income (UBI) of more than $400 a month is moving closer to reality for South Koreans as leading presidential candidates vow to unleash radical policies to combat worsening inequality.

The UBI – a government programme whereby the state unconditionally pays everyone a monthly sum – is viewed by some economists as a fix to entrenched poverty and by libertarians as a way to demolish bloated bureaucracies. But critics believe the policy is impractical and unaffordable.

Lee Jae-myung, who won the ruling party's primary race this weekend, has vowed to progressively roll out the policy over his five-year term if he wins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March, potentially making the Asian nation the first country to adopt a national UBI.

“Real freedom is possible only when basic life conditions are guaranteed in all including income, housing and financing." said Lee, who has been likened to Bernie Sanders, the leftwing US senator.

He added that South Korea “should be a country where unfairness and inequality are resolved and there are abundant opportunities and dreams through sustained growth”.

Under Lee's plan, all South Koreans would initially receive a Wonim ($840) annual payment that would be progressively expanded over the years until they reach a monthly sum of Won500,000 ($420).

Lee, of the leftwing Democratic party and governor of the country's most populous province, is building a popular platform based on aggressive welfare spending, low-priced public housing and cheap loans for the poor.

But the 56-year-old is not alone in looking to untested ideas to counter chronic problems that successive governments have failed to combat: soaring education and housing costs, mounting household debt, rising youth unemployment, unparalleled elderly poverty and the world's lowest fertility rates.

As the health crisis drags on, people agree that we need a stronger social safety net. So they are gradually accepting some of the radical platforms that were long seen as socialist ideas," said Park Chong-hoon, head of research at Standard Chartered.

Kim Dong-yeon, a popular former finance minister who is trying to model himself on French president Emmanuel Macron, wants to go even further and completely overturn the county's legal system.

"The Korean law stipulates only things that are legal so the rest is considered illegal. But it should be the other way around like in many other advanced countries," Kim, who is planning to run as an independent candidate, told the Financial Times. He believes the overhaul is necessary to spur deregulation and unlock innovation.

Kim is a career bureaucrat who pulled himself out of poverty after discovering a discarded civil service examination book in a rubbish bin. But now he wants to abolish the entrance exams to boost the quality of the country's bureaucracy, potentially shattering a taboo of life-long security promised to civil servants.

Conservative opposition candidates are also embracing the giving mood in a turn away from their more austere economic and market-based tendencies.

They have sharpened their focus on property prices, a central symbol of South Korea's growing economic polarisation.

Apartment prices have almost doubled since President Moon Jae-in took office in 2017, despite at least 20 new policy initiatives designed to combat price increases.
Many middle-class households are priced out of the property market, with average apartment prices in Seoul hitting $im, a threshold few Koreans thought possible.

Yoon Seok-youl, the former chief prosecutor and leading opposition candidate, is trying to attract young voters with a pledge of 500,000 half-priced housing units. Other candidates have proposed a series of massive development projects, including relocating a military airport just south of the capital to boost land supply for housing.

Critics, however, question the sustainability of the plans, citing funding problems.
Paul Choi, an economist at CLSA, an investment group, said a victory for Lee might provide a short-term "steroid effect" but risked the long-term health of Asia's fourth-biggest economy.

The focus on inequality marks a stark change from five years ago when Moon rose to power on the back of a spectacular corruption scandal involving Park Geun-hye, the impeached former president.

Booming exports and a robust healthcare response helped South Korea achieve one of the world's fastest recoveries from a pandemic-induced recession last year. But senior officials concede they have been caught off-guard by the speed at which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has widened during the coronavirus pandemic.

Shin Yul, professor of politics at Myongji University in Seoul, said next year's polls looked set to be dominated by populism".

"With many people in economic trouble, they want a charismatic leader with a strong image," Shin said, "regardless of how plausible their platforms are.“

 

 

-Copyright The Financial Times Limited 2021. All rights reserved-

 

 

 

 

Reported by

Alexander Utt. : Freelancer Journalist

김홍이/뉴스탐사기자(Hong-e Kim Journalist)

정석철/국회출입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칼럼] 정 토 작가의 강릉의 물부족 자연재해 아닌 "인재"일 수밖에 없는 이유!!!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강릉시 전역에 가뭄으로 힘든 물부족사태를 현정지휘 점검하고있다. 강원도민일보 사진] 김홍이/손병걸 기자= 정토 작가는 31일 어떻게 공교롭게도 20년이상을 동해안(강릉-양양-속초)에서 살다보니 이사부장군과 지역현안을 연구하고, 강릉-양양에서 총선과 국립대 총장,양양군수 선거에서 공약을 만들다 보니 다양한 문제에 접근한 바 있다고 아래와 같이 밝혔다. 그 중 강릉의 남대천과 오봉댐, 상류의 도암댐과 관련 전략적으로 개입한 적 있는데, 남대천은 지금의 일직선화 된 것이 93년 밖에 되지않은 일본인군수 농택성이 자연형 옛 남대천을 매립하고 직선으로 물이 바다로 쉽게 빠지게 개량한 인공하천이라는 것이고, 오봉댐은 주변 산림을 뜯어버려 저장된 물을 흡수하기 힘는 단순냉장고의 형태라는 것이며, 상류의 도암댐은 필자가 예전 남대천살리기시민모임의 의뢰와 한수원의 후원으로 도암댐을 직접 촬영한 결과 흐르지않는 강물을 담수한 그야말로 관련지자체의 이해가 얽힌 정체된 담수라는 것이다. 이는 지역 위정자가 조금만 지역역사를 이해하면 왜? 지금의 남대천이 1932년까지 존재했던 옛남대천(강문-초당-경포-옥천 방향)처럼 천 년이상을 물이 머물며 경포호와 공존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민주당 김용민 의원(법사위 간사),17일 내란 특검에 방문 '송언석 원내대표' 내란목적 살인 예비ㆍ음모 공범 혐의 고소장 접수
[더불어민주당 김용민 의원 남양주시 병 국회 기자회견 포토] 김홍이/김학민=민주당 김용민 의원은 오늘(17일), 내란 특검에 방문해 송언석 원내대표의 내란목적 예비ㆍ음모 공범 혐의로 고소장 접수했습니다. 지난주 국회 본회의장에서 송언석 원내대표는 “노상원 수첩이 현실로 성공했더라면 이재명 대통령도 저도 이 세상 사람이 아니었을 것”이라는 발언에 대해 “제발 그리됐으면 좋았을 텐데”라고 외쳤습니다. 또한 ‘노상원 수첩’은 반대 세력을 A~D급으로 분류해 연행·제거 방안까지 구체적으로 적어둔 내란목적 살인 예비·음모의 실행계획이었습니다. 그 끔찍한 계획을 공개석상에서 옹호하고 지지한 송 원내대표의 발언은 단순한 정치적 수사가 아니라 공범 가능성을 강하게 의심케 한디고 말했습니다. 이어 김용민 의원은 수첩의 A급 수거대상 피해자로서 송언석 의원을 내란목적 살인 예비·음모 공범 혐의로 고소했고, 특검의 철저한 수사와 엄정한 처벌을 촉구한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 김용민 의원은 17일 송언석 내란목적 살인예비음모 공범 특검 고소 기자회견 전문입니다" 송언석 원내대표에 대하여 내란목적 살인 예비음모의 공범가능성을 확인하고 혐의가 인정될 시 엄벌에 처하기 위해서 내란 특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한류 인기몰이 '케데헌' 속 더피와 수지 '호작도' 최초 공개
한류 인기몰이 '케데헌' 속 더피와 수지 '호작도' 최초 공개 한류 인기몰이의 중심이 된 케이팝 데몬 헌터스 속 더피와 수지 '호작도' 가 리움미술관에서 최초 공개 되었다. 연령 상관없이 세계적으로 열광 중인 '케이팝데몬헌터스'가 인기를 끌면서 한국의 전통 회화 장르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피카소 호랑이’는 19세기에 제작된 호작도 중 하나로, 단순하고 추상적인 선, 노란 호피 문양, 해학적인 표정 등이 특징이에. 이 표현이 피카소의 화풍을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피카소호랑이'라는 별명이 붙게 되었다. 또, 1988년 서울올림픽 마스코트 ‘호돌이’의 시각적 원천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대 한국 디자인사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서울 한남동 리움미술관에서 열리는 전시에서는 총 7점의 주요 작품이 공개된다 까치호랑이 虎鵲’展이라는 제목으로 열리는 이번 기획전은 조선 시대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민화의 대표 주제인 ‘호작도(虎鵲圖)’를 집중 조명한다. 여기에 더해 1874년 신재현이 그린 호작도, 그리고 단원 김홍도의 ‘송하맹호도’ 등도 함께 전시돼, 다양한 시대와 화풍 속에서 호랑이와 까치가 어떻게 해석되어 왔는지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전시는 오는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