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

<서울시=인터뷰뉴스TV> 서울교통공사, 작년 '서울지하철 민원 92만 건'…'냉난방'과 '마스크 미착용 등' 최다

- 서울교통공사, 2020년 서울 지하철 민원처리 결과 공개, 접수된 총 민원은 92만 3천 건

- 유형별 불편민원은 냉난방·마스크·질서저해 순, 코로나로 인해 작년까지 없던 ‘마스크’ 새로 등장

- 고객의 소리 2일 이내 처리율 99.0%·고객센터 응대율 98.4%로 대응 처리 신속

- 무분별한 욕설·악의적 내용 등 비상식적 민원도 많아 어려움 겪기도

- 주요 불편민원은 대응책 세워 개선 중…보다 사랑받는 서울 지하철 되기 위해 노력할 것

□ 서울교통공사(사장 김상범, 이하 공사)가 2020년 서울 지하철로 접수된 민원 총계와 이를 분류한 자료를 공개했다.

<서울지하철 내부>

□ 작년 한 해 접수된 총 민원은 923,093건(하루 평균 약 2,529건)이었다. 작년보다 약 0.8% 감소한 수치다. 민원 건수는 3년 연속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 공사는 지하철 관련 민원을 ▲고객센터(전화번호 1577-1234를 통한 전화·문자 및 또타지하철앱) ▲고객의 소리(공사 홈페이지) ▲서울시 응답소 등을 통해 접수받고 있다.

○ 민원 중 98% 이상이 고객센터를 통해 접수된 민원(906,412건)이었으며, 나머지는 고객의 소리(8,603건)와 서울시 응답소(8,078건)를 통해 접수된 것이었다.

 

 

□ 주요 접수창구인 고객센터의 호선별·월별 통계를 살펴보면, 호선별로는 이용객이 많은 2호선의 민원이 가장 많았고, 대체적으로 수송인원 수와 민원이 비례했다. 작년 대비 1~4호선은 민원이 감소한 대신 5~8호선은 민원이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구분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5호선

6호선

7호선

8호선

2020

906,412

25,773

429,763

107,035

77,112

82,120

41,678

129,699

13,232

2019

907,893

27,090

465,256

109,112

78,391

64,243

35,292

116,911

11,598

증감률

△0.16%

△4.86%

△7.63%

△1.90%

△1.63%

27.83%

18.09%

10.94%

14.09%

민원순위

 

7

1

3

5

4

6

2

8

수송순위

-

7

1

4

5

3

6

2

8

 

 

□ 월별로는 5월 이후 민원량이 급증했는데, 6월의 이상고온·7~8월의 최장기간 장마철 등 날씨와 연관되어 냉·난방이 필요한 시기에 민원이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이었다.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20

51,709

43,987

37,144

43,009

95,183

108,699

104,831

108,403

90,005

81,816

85,412

56,214

2019

46,506

40,232

56,319

75,355

104,358

95,071

97,703

86,806

85,294

95,200

68,452

56,597

증감률

11.2%

9.3%

△34.0%

△42.9%

△8.8%

14.33%

7.3%

24.9%

5.5%

△14.1%

24.8%

△0..7%

순위

9

10

12

11

4

1

3

2

5

7

6

8

 

<불편민원 중 50% 이상이 ‘냉·난방’…‘마스크’ 관련 민원도 10만 건 이상>

□ 민원 중에서도 특히 지하철 이용 시 불편했던 사항을 언급하며 이를 시정하기를 요청하는 민원을 ‘불편민원’이라 한다. 대부분이 고객센터를 통해 접수되는데, 작년 한 해 접수된 고객센터 불편민원은 712,058건이었다.

민원유형

건수

증감

2020

2019

합계

712,058

(100%)

678,929

(100%)

33,129

전동차 냉·난방

374,873

(52.6%)

384,366

(56.6%)

-9,493

열차내 질서저해

63,002

(8.8%)

67,537

(9.9%)

-4,535

유실물

46,735

(6.6%)

62,484

(9.2%)

-15,749

열차지연

28,894

(4.1%)

36,921

(5.4%)

-8,027

열차환경(청결)

19,088

(2.7%)

23,570

(3.5%)

-4,482

열차이용예절

13,457

(1.9%)

9,983

(1.5%)

3,474

열차내시설물

11,562

(1.6%)

20,811

(3.1%)

-9,249

열차안내방송

10,173

(1.4%)

10,190

(1.5%)

-17

전용칸/전용석

8,874
(1.2%)

13,079

(1.9%)

-4,205

역사내 질서저해

7,597

(1.1%)

11,843

(1.7%)

-4,246

교통약자서비스

3,122

(0.4%)

7,389

(1.1%)

-4,267

출입문취급

2,545
(0.4%)

5,134

(0.8%)

-2,589

기타

17,620

(2.5%)

25,622

(3.8%)

-8,002

마스크 관련

104,516

(14.7%)

-

104,516

 

□ 불편민원 중 가장 많이 제기된 민원은 ‘냉·난방’ 민원(374,873건)으로, 전체의 52.6%를 차지했다. 냉·난방 민원은 매년 불편민원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대부분이 ‘전동차 안이 더우니 냉방을 틀어달라’ 또는 ‘전동차 안이 추우니 난방을 틀어달라’와 같은 내용이다.

○ 공사 관계자는 이에 대해 “전동차 내 온도는 지하철 실내온도 규정(하절기 25~26℃·동절기 18~20℃)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되며, 민원 접수 시 곧바로 기관사에게 알려 추가로 수동 온도 조절을 시행하고 있다. 다만 같은 전동차 내에서도 ‘덥다’ ‘춥다’라는 민원이 모두 들어오는 경우도 있어 대응에 어려움을 겪을 때도 있다.”라고 말했다.

 

□ 대부분의 불편민원이 전년 대비 감소했으나, 열차이용 예절 불편민원은 전년보다 증가(13,457건, +3,474건)하였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지하철 안에서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되자 마스크 관련 민원이 10만 건 이상(104,516건) 접수되었는데, 전화·문자에 이어 7월 말부터 ‘또타지하철‘ 앱에 마스크 미착용자 신고 기능이 추가되면서 관련 민원이 크게 증가했다.

 

□ 이 외에도 ▲열차 내 질서저해(63,002건) ▲유실물(46,735건) 등이 작년 한 해 많이 접수된 불편민원 유형이었다.

 

□ 공사는 지속·다량 접수되는 불편민원에 대해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가령 가장 많이 접수되는 냉·난방의 경우, 승무원의 안내방송 시행과 수동 온도조절에 더해 전동차 냉방기 부품 세척을 꼼꼼히 실시하고 매월 정기적으로 정비해 냉·난방장치 가동에 문제가 없도록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 마스크 민원에 대해서도 또타지하철앱 등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해 편리하게 신고할 수 있도록 하고, 마스크 착용 대시민 홍보· 지하철보안관 평상시 순회단속 강화 등의 대책을 시행 중이다.

 

<접수된 민원은 신속·정확히 답변고객센터 응대율 98.4%·2일 이상 민원처리율 99% >

□ 공사는 접수된 민원에 대해 신속·정확히 고객에게 답변하겠다는 원칙을 세워 이에 대응하고 있다. 민원이 가장 많이 접수되는 고객센터의 작년 응대율은 98.4%였으며, 상담품질·상담지식·이용만족도 등 각종 평가 결과도 90점 이상을 기록하는 등 시간당 25건 이상을 접수하는 바쁜 상황 속에서도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 2019년 전국 공공기관 민원콜센터 운영현황 조사 결과(행정안전부)에 따르면, 국내 공공기관 고객센터 평균 응대율은 89.5%였다.

 

□ 이 외에도 고객의소리(99.02%)와 서울시응답소(99.3%)로 접수된 민원의 99% 이상을 기한 안에 답변하였다. 이는 전년 대비 1% 이상 상승한 수치다.

 

<욕설·폭언 등 비상식적 문의도 접수답변하기 힘들어요>

□ 수많은 민원들이 공사로 접수되는 가운데, 특히 답변하기 곤란한 민원들도 여럿 있었다. 가장 대응하기 힘든 민원은 감정노동이 수반되는 욕설·폭언이 섞인 민원이다. 주로 전화를 걸어 큰 소리로 욕설을 내뱉고, 지하철 불편사항을 언급하며 해결하지 않으면 보복을 가하겠다는 등의 내용이 대부분이다.

 

□ 공사 관계자는 “지하철 이용에 있어 불편한 점이나 개선해야 할 점을 상식적으로 제기하는 민원이 아닌 비상식적인 민원에 대해서는 어떻게 해야 좋을지 답답할 때가 많다.”라며 “마음에 안 들면 불친절하다고 또 민원을 제기하기 때문에 답변하기 무서울 때도 있다.”라고 말했다.

 

<훈훈한 칭찬 민원도 있어 보람 느껴고객 편의 위해 앞으로도 민원대응 최선 다할 것>

□ 모든 민원이 불편한 내용만 언급하는 것은 아니다. 직원과 공사의 대응에 감사하고 이를 격려하는 칭찬 민원도 다수 접수되고 있다. 작년 한 해 접수된 칭찬 민원은 3,425건(고객의소리 587건·고객센터 2,838건)이었다.

 

□ 코로나19로 모두가 힘든 상황 속에서 지하철 내 마스크 착용을 알리며 조금만 더 견뎌내자는 승무원의 안내방송을 듣고 마음이 놓였다는 승객, 가족과의 추억이 담긴 휴대폰을 열차 안에 두고 내렸는데 직원이 재빨리 찾아줘 고마웠다는 승객 등 시민들의 따뜻한 목소리가 작년 한 해에도 이어졌다. 휴대용 우리를 탈출한 고양이를 두 역을 돌아다니며 수색한 끝에 겨우 찾아줘서 고마웠다는 독특한 칭찬 사례도 있었다.

#. 작년 12월 28일 13시 45분 경 한 승객이 고양이가 든 휴대용 우리(케이지)를 들고 1호선 서울역을 이용하던 중, 고양이가 스스로 우리를 탈출해 혼자 전동차를 타고 시청역으로 이동한 사건이 있었다. 승객은 직원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서울역과 시청역 직원이 두 역을 모두 돌아다니며 수색한 끝에 탈출한 고양이를 발견해 승객에게 다시 돌려준 사건이 있었다. 승객은 사례하겠다고 했으나 직원들은 공적인 일이라며 사양하였고, 이에 승객은 고객의소리에 글을 올려 두 역 직원들에게 감사를 표했다.

 

□ 오재강 서울교통공사 고객서비스본부장은 “90만 건이 넘는 민원은 고객들이 서울 지하철에 대해 보내주신 사랑과 애정이기에 더욱 신속하고 정확히 처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며 “다만 비상식적인 민원에 대해서는 답변을 제한하는 등 감정노동자 보호 원칙도 잊지 않고 지켜나갈 것이다.”라고 말했다.

 

 

 

Reported by

김학민 기자

김홍이 기자/PD


인터뷰컬럼

더보기
이재명에게도 보상이 필요하다... 내란의 절대 악으로부터 나라 구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김민석 최고위원 포토> 매일 목숨을 걸다시피 하는 절체절명의 격변기에 대선이 가시화되자 이재명에 대한 비난이 증폭하고 있다. “이재명은 안된다”부터 “선거법위반 당선무효형”에 ”거칠고 독선적이다”까지, 지나치게 악의적이다. 필자의 생각엔 숨어있는 커넥션이 재가동되고 있는 듯하다. <1월 31일 대전현충원 찾은 이재명 대표> 이 보이지 않는 힘이 우리 사회의 근원적 악이다. 아마 짐작할 것이다. 여야를 가리지 않는 탓에 더 구체적으로 말하는 것을 삼간다. 조기대선 상황에서 더 이상의 혼란과 불신은 없어야 한다. 최근 이재명의 ‘우클릭’ 행보에 다소 실망하는 분들은 이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이재명은 지금 가랑이 밑을 긴 한신의 과하지욕(袴下之辱)으로 목숨을 걸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만큼 민주진영의 수권이 절박하다. 수권해야 개혁도 있다. <1월 31일 대전현충원 故 채상병 묘 찾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포토> 이쯤하고, 같은 시대를 사는 사람으로서 마음의 평정심을 갖고 상식적으로 한번 생각해 보자. 진영이나 지역을 가리지 않고 국민들께 드리고 싶은 말이다. 이재명은 내란이라는 무지막지한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국회, 용혜인 의원 기자 회견 '내란공범 피의자' 한덕수 총리 와 최상목 부총리 "탄핵" 즉각 추진해야!
<용혜인 의원 재선 국회 기자회견 포토> 김홍이 기자= 용혜인 의원 4월 9일 국회기자회견에서 한덕수 권한대행이 이완규 법제처장을 헌법재판관 후보자에 지명했다고 말하고, 또다시 내란세력 알박기 임명했다고 지격탄을 날렸습니다. 이어 용혜인 의원은 ‘권한대행의 헌법기관 임명은 자제하는 게 헌법정신이다’ 한덕수 권한대행이 불과 세 달 전, 직접 뱉은 말입니다. 아래와 같습니다. 본인이 뱉은 말에 잉크도 마르지 않은 시점에, 오로지 내란세력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위헌적인 행태를 서슴지 않겠다는 것입니다 국회가 선출한 헌법재판관에 대한 형식적 임명권 행사는 반헌법적이니 못하겠고, 대통령 몫의 헌법재판관에 대한 임명권 행사는 헌정유지에 꼭 필요한 일입니까? 이중잣대도 이런 이중잣대가 없습니다. 박근혜 탄핵 과정에서 황교안 권한대행도 대법원 몫의 헌법재판관은 임명했지만, 대통령 몫의 헌법재판관은 임명하지 않았습니다. 6년의 임기가 보장되는 대통령 몫의 헌법재판관을 국민이 선출한 적도 없고, 그 어떤 민주적 정당성도 없는 권한대행이 지명하는 것이야말로 심각한 헌정파괴 행위입니다. 심지어 권한대행이 지명한 헌법재판관 후보자가 누구입니까? 12.3 내란의 핵심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풍류도 종로센터 청년들이 기획한 신명나는 멋과 여유의 무대가 오는 4월 11일 서울돈화문국악당에서 서울시민들을 대상으로 선보인다.
풍류도 종로센터 청년들이 기획한 신명나는 멋과 여유의 무대가 오는 4월 11일 서울돈화문국악당에서 서울시민들을 대상으로 선보인다. 이번 풍류도 종로센터 타악 연주 공연은 풍류도 종로센터 개원 3주년을 맞이하여 처음으로 학생들이 직접 계획하고 실행하여 열리는 한국 전통 타악 연주 공연이다. 주최 주관인 풍류도를 통하여 종로센터 원장인 노반희가 연출과 감독을 맡아 진행하게되는 이번공연은 한국의 동양철학인 '접화군생' 이다. 이를 한자로 직역하면 ' 인간뿐만 아니라 자연과 우주 만물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이를 통해 진화하고 변화를 이끌어내는 과정 ' 을 의미한다. 이를 통하여 풍류도 종로센터에서 학생들이 서로가 서로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더불어 살아가고 (共生) 아름답게 멋과 여유를 즐기는 (調和) 풍류적 정신을 이어 가고자 하는 공연의 메세지가 담겨 있다. 출연진으로는 풍류도 종로센터에서 1년에서 부터 3년 이상 수업을 들은 학생들로 구성이 되어있다. 이번 공연에서 보여드리는 작품은 총 6개로 '영남 풍물 놀이' 'what makes you beautiful' '하나가 되는 아리랑' '다스름' '삼도설장구가락' 'Rising the phoenix' 가 있다.

방송연예

더보기
<연예문화> 딴따라의 반란 '송이나' 세계미인대회에서도 우뚝서다
딴따라의 반란 '송이나' 세계미인대회에서도 우뚝서다 딴따라 의 반란의 주범으로 요즘 가장 핫한 이슈에 중심에 있는 송이나는 뮤지컬가수, 드라마 영화 연극인으로 독립영화 기획 연출자로 또 한번 일을 저질렀다 ‘GMAEA2024 세계를 하나로! World 美人(미인)대회에서 3위를 차지했기 때문이다 그날 수상한 寒菊(한국)대표 송이나(f본명 김수진)은 영어/중국어/한국어로 수상소감을 본인의 이름처럼 세계를 빛내는 사람이 될 것이라고 당당하게 이야기했다 딴따라에 가장 걸맞는 엔터테이너로 떠오르는 송이나는 뮤지컬 ‘블루블라인드’ 앙상블로 ‘창업’의 주연 ‘신덕왕후 강씨역으로 ’로미오와 줄리엣‘의 주연 ’줄리엣‘ 역으로 춤과 노래와 연기의 종합셋트라는 칭호를 들었으며 연극 ’스파르타의 '불구아이‘ 의 주연 아린역, ’유관순, 9월의 노래‘의 조연 ’오선화‘역으로 ’시간 여행, 그날‘ 정순왕후역으로 ’메디아‘의 주연 ’메디아 역으로 'The Cellar' 주연 ‘미란’역으로 뮤지컬과 연극무대에 주조연으로 탄탄한 연기력을 바탕으로 관객의 호응을 얻고있다 광고모델도 활약은 이어졌다 어렵다던 중국 코카콜라 광고 촬영을 했으니 더 이상 말이 필요할까 할 정도로 그녀의 캐릭터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