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3분기 월평균 알바소득 ‘67만 8465원’… 평균시급 ‘7,060원’

3분기 알바 소득증가율 2.4%, 2분기 이어 ‘최저’… 한은 경제전망 2.7% 밑돌아


(뉴스와이어)3분기 국내 아르바이트 시장 소득성장률이 2분기에 이어 또다시 최저치를 찍었다. 이는 한국은행이 발표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인 2.7%보다 밑도는 수준의 결과치다. 

아르바이트 전문포털 알바천국(대표 최인녕 www.alba.co.kr)은 2015년 3분기(7~9월) 아르바이트 소득이 있는 전국 남녀 4,077명의 월평균 총소득과 근무시간을 조사한 ‘2015년 3분기 알바소득지수 동향’ 분석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알바소득지수 분석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월평균 아르바이트 총 소득은 ‘67만 8,465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66만 2,698원) 2.4% 증가하며 지난 2분기(2.9%)보다도 더 낮은 소득증가율을 기록했다.


이는 2013년 3분기 대비 2014년 3분기의 소득 증가율인 10.2%와 비교해보면 5분의 1 수준에 그치는 결과다. 

특히 이번 3분기 소득 성장률인 2.4%는 한국은행이 지난 15일 발표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인 2.7%를 밑도는 수준으로 경기침체로 아르바이트 시장의 일자리 수요마저 더욱 얼어붙으며 알바소득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총소득을 근로시간으로 나누어 산출한 전체 평균시급은 ‘7,060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6,690원) 5.5%(370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최저시급 상승률인 7.1%를 약간 밑도는 수치다. 

3분기 소득 증감률을 업종별로 보면 ‘매장관리’(+1.3%), ‘서빙/주방’(+1.5%), ‘서비스’(+2.4%)직은 전년동분기 수준을 약간 웃돌며 정체되는 모습을 보였고, ‘IT/디자인’(-4.3%), ‘상담/영업’(-7%), ‘강사/교육’(-7.4%) 직종은 소득이 감소했다. 

반면 ‘생산/기능’(+13.6%)과 ‘사무/회계’(+13.7%)는 작년보다 높은 증가율을 보인 점이 특징이다. 특히 ‘생산/기능’은 평균 소득 ‘95만 1,312원’으로 전 업종에서 소득 1위에 올랐으며, 이는 주간 평균근로시간이 28.9시간으로 가장 길었던 영향이다. 

연령별로는 매 분기 10% 이상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던 50대가 올 3분기 들어 전 연령 중 유일하게 -4.7%감소한 것이 특징이다. 50대의 근로시간은 ‘31.5시간’으로 전 연령 중 가장 길며, 소득도 ‘94만 5000원’으로 가장 높다. 

학력별로 보면 ‘고졸’이 ‘85만 8,974원’으로 가장 높은 소득을 올린 가운데, ‘대졸’의 소득(83만 4,750 원)이 전년동분기대비 8.2% 껑충 뛴 것이 두드러진다. 이는 대학을 졸업한 취업준비생의 아르바이트 비율이 전년보다 더욱 증가했음을 보여준다. 

지역별로는 ‘인천’(74만 7,826원)과 ‘부산’(73만 1,099원)이 소득 1,2위를 차지했다. 인천이 소득 1위에 오른 이유는 주간 평균 근로시간이 가장 긴 ‘생산/기능직’의 비율이 높고, 평균 시급이 ‘8,059원’으로 전 지역 중 가장 높았던 영향이다. 

전체 주간 평균 근로시간은 2013년 ‘23.1시간’에서 2014년 ‘22.8시간’, 2015년 ‘22.1시간’으로 3년 연속 감소하며 아르바이트 노동 수요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알바천국 최인녕대표는 “2015년 3분기 아르바이트 시장은 전년동분기대비 근로시간은 3.1% 줄고 평균시급은 5.5% 올라, 결과적으로 전체 소득 성장률이 2.4% 수준에 이른 것으로 해석된다”고 덧붙였다. 

알바소득지수(Arbeit Income Index)란 최저임금을 기본으로 한 단순시급 분석을 벗어나 실제 알바시장의 평균 노동시간과 임금을 처음으로 분석한 지표다. 특히 기존의 시급위주가 아닌 총소득 개념으로 접근해 근로시간을 반영함으로써 단순 시급으로 알바시장을 분석해왔던 한계점을 해소했다. 성별, 연령별, 지역별, 업종별, 학력별 등 광범위한 다층 구조 분석을 통해 세분화된 지수를 제공, 보다 실질적인 아르바이트 노동시장을 파악할 수 있으며 알바천국이 처음으로 개발해 발표하고 있다.
출처: 알바천국
홈페이지: http://www.alba.co.kr

관련기사


인터뷰컬럼

더보기
[칼럼] 정 토 작가의 강릉의 물부족 자연재해 아닌 "인재"일 수밖에 없는 이유!!!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강릉시 전역에 가뭄으로 힘든 물부족사태를 현정지휘 점검하고있다. 강원도민일보 사진] 김홍이/손병걸 기자= 정토 작가는 31일 어떻게 공교롭게도 20년이상을 동해안(강릉-양양-속초)에서 살다보니 이사부장군과 지역현안을 연구하고, 강릉-양양에서 총선과 국립대 총장,양양군수 선거에서 공약을 만들다 보니 다양한 문제에 접근한 바 있다고 아래와 같이 밝혔다. 그 중 강릉의 남대천과 오봉댐, 상류의 도암댐과 관련 전략적으로 개입한 적 있는데, 남대천은 지금의 일직선화 된 것이 93년 밖에 되지않은 일본인군수 농택성이 자연형 옛 남대천을 매립하고 직선으로 물이 바다로 쉽게 빠지게 개량한 인공하천이라는 것이고, 오봉댐은 주변 산림을 뜯어버려 저장된 물을 흡수하기 힘는 단순냉장고의 형태라는 것이며, 상류의 도암댐은 필자가 예전 남대천살리기시민모임의 의뢰와 한수원의 후원으로 도암댐을 직접 촬영한 결과 흐르지않는 강물을 담수한 그야말로 관련지자체의 이해가 얽힌 정체된 담수라는 것이다. 이는 지역 위정자가 조금만 지역역사를 이해하면 왜? 지금의 남대천이 1932년까지 존재했던 옛남대천(강문-초당-경포-옥천 방향)처럼 천 년이상을 물이 머물며 경포호와 공존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2025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에서 주최하는 '제13회 아트챌린저'가 공모를 시작했다.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작가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재능일까, 인내일까, 아니면 무대를 만나는 운일까. 2025년, 작가들에게 ‘그 무대’가 열린다. ‘2025 아트챌린저 공모전’은 단순한 예술 경연을 넘어, 예술가가 사회와 소통하고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현실적 도약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3년의 축적, 예술의 내일을 향해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회장,여운미)가 주최하는 ‘아트챌린저 공모전시’는 올해로 13회째를 맞는다. 그동안 수많은 작가들이 이 무대를 통해 전시의 두려움을 이겨냈고, 콜렉터와의 만남을 경험했으며, 다음 기회를 향한 발판을 마련해왔다. 예술계에서 이 공모전시는 예술 생태계를 건강하게 확장시키는 의미 있은 전시 무대이다. 참가 장르는 서양화, 동양화는 물론, 평면, 입체, 디자인, 디지털아트 등 최근 주목받는 AI 기반 창작물까지 포괄하며,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예술적 다양성을 수용하고 있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는 개방성도 또 하나의 강점이다. 경력이나 연령에 제한이 없고, 오직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