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한양하이타오, 中 알리바바 광군제 특수…하루 매출 107억 원 기록

알리바바의 ‘하이타오 글로벌’ 한류관, 광군제 관련 매출 100억 원 초과
신규 사업 실적 4분기부터 반영되어 시장 기대감 부응할 것


(뉴스와이어) 중국인들의 해외 직구 온라인 쇼핑몰인 ‘하이타오 글로벌’에 한국 상품을 독점 수출하고 플랫폼 운영 사업을 하는 한양하이타오가 11일, 알리바바데이 특수를 톡톡히 누렸다. 

한양하이타오(064090, 각자대표 오세광, 이혁수)는 중국 광군제(光棍節, 알리바바데이)와 관련하여 화장품과 패션의류 등 한국 상품 매출이 107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2일 밝혔다. 

광군제는 숫자 1이 네 개인 11월 11일을 지칭하는 날로, 중국의 독신인을 위한 기념일이다.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인 ‘알리바바’가 2009년에 대형 할인 이벤트를 치르며 유명해졌고, 올해 알리바바데이 당일 하루 동안만 지난해 보다 약 54% 성장한 912억 위안(약 16조 5천억 원)의 매출을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알리바바와 후난위성TV가 합작 설립한 ‘하이타오 글로벌’은 해외 직구 전문 쇼핑몰로, 이중 ‘한류관’에서 판매되는 상품을 한양하이타오가 독점 공급하며 수출과 플랫폼 공동 운영을 통해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알리바바 그룹 계열과 직접 사업을 하는 국내 업체는 한양하이타오가 유일하다. 

오세광 한양하이타오 대표는 “그간 심혈을 기울여 준비해 온 신규 사업이 10월부터 실적에 반영됨과 동시에 중국 알리바바데이를 통한 중국의 해외 직구 시장 규모를 실감해 매우 고무적”이라며 “앞으로도 하이타오 글로벌이 우리나라의 우수한 제품을 중국인들에게 소개할 수 있는 최고의 해외 직구 플랫폼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출처: 한양하이타오 (코스닥: 064090)

관련기사


인터뷰컬럼

더보기
천주교 정의구현사제단, 7월 7일 李 政部의 정성호 법무장관 후보의 검찰개혁, 이대로 괜찮은가??
[더불어민주당 김용민ㆍ민형배 의원 등 강력한 검찰개혁 서명서 발표 포토] 김홍이/이상철 기자=천주교 정의구현사제단의 성명서 7월 7일 정치는 낙관의 예술이다. 특히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어떤 암운 속에서도 희망의 불씨를 지켜온 우리 국민에겐 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희망은 맹신과 다르다. 희망은 더 나은 내일을 위해 오늘의 현실을 냉정하게 직시할 때 더욱 단단해진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 조심스레 ‘정성호 법무장관의 검찰개혁 구상’에 대해 깊은 우려와 건설적 견제를 함께 나눠야 한다. 정성호 장관은 서울법대 출신이다, 검사 출신은 아니나 검찰 조직과 학연·직연으로 엮인 사람이다. 그가 국회에서 언급한 “검찰개혁은 여야 합의로” “헌법상 검찰총장은 존재해야 한다”는 발언은 얼핏 중도적 균형감각처럼 보이지만, 실은 검찰의 구조적 권한 분산보다는 유지 내지 재편으로 들린다. 그가 제시한 ‘기소검찰청’과 ‘중대범죄수사검찰청’의 이원화 구상은 민주당이 일관되게 추진해온 ‘수사와 기소의 완전 분리’ 원칙을 흐리는 위험한 설계다. 결국 기존 검찰 권한의 분산이 아닌, 권력의 ‘복수화’에 그칠 공산이 크다. 기소 검찰총장 공소 검찰총장을 만들어 오히려 혹을 하나 더 븥이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7월 11일 오늘 산업통상자원부 반도체산업과 및 한국산업단지공단과 간담회... 김동아 의원(더불어민주당)특화단지 조성 및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
[김동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산자위 위원 포토)] 김홍이/이상철 기자= 더불어민주당 김동아 의원은 7월 11일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와 반도체 특화단지 조성 및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였다. 반도체는 과거 산업혁명기의 석탄과 석유처럼, 현대 산업의 기반이자 '산업의 쌀과 공기'라고 불리는 핵심 전략 물자이다고 말하고, 해외 선진국들이 앞다퉈 대규모 국비지원과 세제지원 등으로 반도체 산업을 국가 전략산업으로 육성하는 이유이기도 한다고말했다. 또한 김동아 의원은 반도체 산업은 비단 대기업뿐 아니라, 수많은 국내 중소기업과 협력업체들의 생존과도 직결되어 있고, 지역 경제와 산업 생태계 전반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따라서 '코리아 엑소더스'를 막고,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재편 속에서 대한민국이 기술 주도권을 지킬 수 있도록 국회가 적극 나서야 합니다. 다만, 현재 수도권에 과도하게 집중된 첨단산업 인프라를 지방으로 분산하고, 지역 간 균형 있는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회 산자위 위원으로서 관련 입법과 정책, 예산 전반을 면밀히 살피겠다고도 밝혔습니다. 과감한 지원은 하되, 형평성과 투명성을 원칙으로 삼아 대기업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세미갤러리, ‘2025 끌림전’ 개최, 예술로 이어진 14년의 이야기…
세미갤러리, ‘2025 끌림전’ 개최, 예술로 이어진 14년의 이야기… 세미갤러리가 주최하는 연례 전시회 ‘끌림전’이 2025년에도 이어진다. 2011년 중국 하얼빈 초청전시로 시작된 끌림전은 올해로 11회째를 맞는 장수전시행사로 동시대 미술의 다양성을 담아내며 지속적인 예술 교류의 장을 열어왔다. 끌림전 회원들사진 하얼빈에서 서울까지, ‘끌림’의 여정 ‘끌림전’은 그 이름처럼 예술이 사람을 끌어당기는 힘, 작가와 관람객 사이의 감정의 연결, 그리고 서로 다른 문화가 만나 만들어내는 교감을 주제로 삼는다. 첫 회인 2011년, 하얼빈에서의 전시를 기점으로 미술적 교류를 지향하며 시작된 본 전시는, 이후 매해 국내 다양한 작가들의 참여 속에 한국 현대미술의 정체성과 감수성을 녹여내 왔다. 참여작가들의 작품 7월17일(목) 세미갤러리에서 열리는 ‘2025 제11회 끌림전’은 전통적인 미술 매체뿐 아니라 디지털 아트, 설치, 퍼포먼스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이 함께한다. 참여 작가군은 신진작가부터 중견작가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스펙트럼을 형성해, 세대 간 예술적 해석의 차이와 그 속에서 피어나는 공감대를 조망한다. 홍대의작가의 퍼포먼스 세미갤러리는 단지 전시 공간을

방송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