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구킴,일본 도쿄에 구구킴굿즈 '구구걸스'1호점 오픈

구구킴, 일본 도쿄에 구구킴 굿즈 ‘구구걸스’ 1호점 오픈


한국보다 외국에서 더 잘 알려진 구구킴은 그의 맑은 영혼을 녹여내는 작품을 통해 찬사를 받아오고 있다. 구구킴은 핑거스탬핑 기법의 대가인데 이미 그의 독특한 기법은 미술계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핑거스탬핑은 붓 대신 손가락으로 안료를 묻혀 캔버스에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과정을 거치는데 밑그림 없이 진행을 하기 때문에 한번 실수하면 몇일 작업한 것을 망치기도 한다. 그만큼 고도의 집중력을 요구하는 기법으로 작품을 만드는 광경을 옆에서 관찰하면 탄성을 자아내게 한다.


구구킴의 작품은 우리나라 전통적인 이미지를 그만의 독특한 시야로 표현하여 미국, 일본, 중국, 유럽등에서 한국 미술의 독창성을 널리 알리는 역할을 해 오고 있다. 붓과 같은 전통적인 미술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마음의 깊은 곳에서 울려퍼지는 소리를 표현하여 작품을 감상하는 사람들의 심금을 울려오고 있다.
더욱 놀라운 것은 그가 독학으로 그림을 그리며, 그의 생각을 정리하여 그림전시회 및 패션쇼도 진행한다는 것이다. 지난 2021년 6월 26일(토) 부산 해운대 LCT 타워 앞 해수욕장 백사장에서 구구킴스(주) 주관으로 그림 전시회 및 캐릭터 패션쇼 ‘One for heart! One for love!’는 아무도 상상치 못한 거대한 예술잔치 였다. 만일 소나기가 내렸다면 그의 그림은 젖어서 쓸모 없게 되었을 수 있다. 하지만 그는 결단을 내렸고 해운대 백사장은 그의 그림을 전시하는 갤러리가 되었으며 그림을 따라 이동하는 모델들의 패션쇼는 아무도 흉내 낼 수 없는 구구이즘(GuGuism)의 극치를 보여주기에 충분 했다.


세계 최초로 모래사장에서 개최된 그림 전시회 및 캐릭터 패션쇼는 ‘구구킴 동심전’과 ‘GuGugirls 캐릭터 패션쇼 퍼포먼스’가 동시에 전시 되었다. 아이들이 그린 듯한 1000호(약 3m×5m)짜리 초대형 그림 20여 점이 모래사장 바닥에 설치 되었으며, 아이부터 어른까지 일상생활에서 쉽게 입을 수 있는 Art Goods와 구구걸스, 구구키즈캐릭터 굿즈 150여점이 질서정연하고 조화롭게 전시되어 구구킴의 뛰어난 창의력을 가감없이 발휘하는 계기가 되었다.


구구킴은 구구킴 굿즈인 구구걸스 이미지로 개성적인 그만의 세계를 표현해 오기도 했는데 티셔츠, 후드, 모자, 가방, 캐리어, 쿠션 등 다양한 캐릭터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이 일본의 심장 동경 다이칸야마에 2022년 5월5일을 기해 문을 열었다. 한국에는 카카오와 라인이 그들만의 캐릭터를 전시 판매하는 공간을 유지해 오고 있다. 그런데 구구킴의 굿즈인 구구걸 작품만으로 동경에 문을 열었다는 것은 그 상징성을 높이 평가 할 만 하다.


매장을 찾은 다나까씨 (39세, 가명)는 “친근감을 주는 구구걸스는 여자친구가 좋아하는 이미지인데 여자친구의 생일을 맞아 선물하기 위해 같이 방문했다”며 환하게 미소를 지었다. 한일관계가 풀리지 않는 실타래처럼 꼬인 이 싯점에서 한국인 예술가의 작품을 사랑하는 일본인 팬들의 행렬을 보며 한일관계가 문화로 풀리길 기대해 본다.

 

김학민문화예술기자 


인터뷰컬럼

더보기
김경호 변호사, 12일 서울구치소장 김현우의 헌법 위에 서려는 오만, 국기(國基)를 흔들다!
[김현우 서울구치소장 포토] (김경호 변호사의 칼럼) 김홍이 황일봉 기자=[칼럼] 김경호 변호사의 서울구치소장 김현우의 헌법 위에 서려는 오만, 국기(國基)를 흔들다 김 변호사는 공직자는 법의 수호자이지, 주인이 아니다. 국가의 녹을 먹는 자는 국민 전체에 대한 봉사자로서 헌법과 법률에 부여된 책무를 성실히 수행할 의무를 진다. 그러나 서울구치소장 김현우가 보여준 행태는 이러한 공직의 대의를 정면으로 배신하고, 법치주의의 근간을 스스로 허무는 오만의 극치이다. 국민의 대표기관인 국회 법제사법위원회가 내란수괴 혐의로 수감된 전직 대통령의 체포 과정에 대한 자료를 요구했다. 이는 '황제 수용'이라는 국민적 의혹을 해소하고, 국가 형벌권 행사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지극히 정당한 헌법적 권한 행사이다. 그러나 김현우 소장은 이를 정면으로 거부했다. 그는 국회법보다 하위법인 정보공개법의 '사생활 보호' 조항을 얄팍한 방패로 삼아 국민의 눈과 귀를 가로막았다. 이는 단순한 법리 오해가 아니다. 명백한 직권남용이자, 의도적인 헌정 질서 유린 행위이다. 국회의 자료제출요구권이 다른 법률에 우선한다는 '국회증언감정법'의 명문 규정을 모를 리 없는 공직자가, 법률의 위계질

정치경제사회

더보기

문화예술스포츠

더보기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2025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에서 주최하는 '제13회 아트챌린저'가 공모를 시작했다. “예술가의 내일을 여는 무대”—2025 아트챌린저공모전시,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열다. 작가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재능일까, 인내일까, 아니면 무대를 만나는 운일까. 2025년, 작가들에게 ‘그 무대’가 열린다. ‘2025 아트챌린저 공모전’은 단순한 예술 경연을 넘어, 예술가가 사회와 소통하고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현실적 도약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3년의 축적, 예술의 내일을 향해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회장,여운미)가 주최하는 ‘아트챌린저 공모전시’는 올해로 13회째를 맞는다. 그동안 수많은 작가들이 이 무대를 통해 전시의 두려움을 이겨냈고, 콜렉터와의 만남을 경험했으며, 다음 기회를 향한 발판을 마련해왔다. 예술계에서 이 공모전시는 예술 생태계를 건강하게 확장시키는 의미 있은 전시 무대이다. 참가 장르는 서양화, 동양화는 물론, 평면, 입체, 디자인, 디지털아트 등 최근 주목받는 AI 기반 창작물까지 포괄하며,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예술적 다양성을 수용하고 있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는 개방성도 또 하나의 강점이다. 경력이나 연령에 제한이 없고, 오직

방송연예

더보기